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2,918건 검색되었습니다.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03
온도 체계에서
가장
뜨거운 온도는 바로 음의 절대영도다. 반대로 음의 온도 체계에서
가장
차가운 온도는 음의 무한 온도다. 온도가 낮아지는데 어떻게 뜨거워질 수 있을까.신용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음의 온도 체계에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뜨거워지는 까닭은 온도를 표기하는 방식 ... ...
[3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03
처리법으로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도 모두 분해해 보건 환경측면에서도 우수하다.
가장
좋은 음식물쓰레기 처리법은 처음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것이다. 음폐수를 아무리 깨끗하게 처리해도 그것은 친환경적인 것이 아니다. 음폐수를 애초에 만들지 않는 것이 친환경적인 것이다. ... ...
PART3. 미백 화장품, 얼마나 효과있나
과학동아
l
201303
가장
초기 단계에서 자외선을 막는 자외선 차단제가
가장
효과적이다.그렇다면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미백 물질은 무엇일까. 화장품에서는 나이아신아마이드가 대세지만 진짜 미백 물질은 의약품으로 처방되는 ‘하이드로퀴논’이다. 하이드로퀴논은 주로 피부 연고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
과학동아
l
201303
없어요. 지금 있는 것은 너무 작습니다. 빨리 연소시험장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게
가장
급해요.”“완벽한 우리 발사체를 만들어야죠. 나로호는 디딤돌이에요. 저의 정말 꿈은 미래 어느 날 알파부터 오메가까지 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을 발사해 성공하는 겁니다. 제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차세대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
과학동아
l
201303
보이나요? 초원에 자유로이 흩어져 풀을 뜯거나 앉아 쉬고 있죠. 500만 마리의 동물 중
가장
개체수가 많은 누(윌더비스트, 위 사진)예요. 약 150만~200만 마리가 살고 있죠. 세렝게티 야생동물 전체의 30~40%를 누 한 개체가 차지하고 있는 셈이에요. 물론 세렝게티에는 누 외에도 많은 야생동물이 있어요. ... ...
마틴 루터 킹 연설문이 DNA 속에 ‘쏙’
과학동아
l
201303
단위에서는 65% 이상의 효율을 갖는 저장매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지구에서
가장
많은 과학 데이터를 생산하는 곳 중 하나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다. 이곳에서 지난 2월까지 만든 데이터가 약 100PB다. ‘네이처’는 100PB의 정보도 골드먼 박사의 방법을 쓰면 DNA ... ...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인조인간 탄생
과학동아
l
201303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인조인간 탄생각지 연구소에서 조달받은 인공 장기와 사지로 만든 100만 달러(약 10억 원) 짜리 인조인간 렉스.손상된 장기와 팔 다리를 대체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을 렉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03
뜻이 맞는 사람들이 여럿 있었습니다. 제가 연구책임자였고 그 유물을 탈취해 오기에
가장
적합한 사람이었습니다. 물론 뒷일은 장담할 수 없었죠. 그래도 저는 그 일을 해야만 했습니다.”“주동자라는 말씀이신가요?”“그런 게 아니었어요. 지휘체계가 있는 조직이 아니었거든요. 그냥 ... ...
[수학뉴스] 48번째 메르센 소수 찾았다!
수학동아
l
201303
자릿수가 무려 1742만 5170자리 인 소수 ‘257885161-1’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가장
큰 소수는 2008년 에디슨 스미스에 의해 발견된 ‘243112609-1’로, 자릿수가 1297만 8189자리다. 두 소수는 모두 메르센 소수다. 메르센 소수란 프랑스의 수학자 마랭 메르센이 350년 전 처음 발견한 것으로, ‘n이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03
퍼즐인 폴리노미노, 소마 큐브, 펜로즈 타일링 등 사람들이 즐기는 수많은 수학 게임들을
가장
처음 소개했다. 놀라운 점은 고등학교 이후로 학교에서 수학을 배운 적이 한 번도 없다는 점이다.4. 존 호턴 콘웨이(1937~)지금도 왕성히 활동하는 천재 수학자이자 게임이론의 대가. 새싹게임을 비롯해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