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직각삼각형의 비밀, 피타고라스의 정리 발견
수학동아
l
201008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기본 원리 역할을 하는 셈이다.피타고라스가
처음
은 아니다 피타고라스는 기원전 500년경에 살았던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다. 케옵스 피라미드를 짓던 시대는 이보다 훨씬 전이다.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1800년경 고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에서도 ... ...
정다면체 오형제의 위대한 탄생
수학동아
l
201008
010년 남아공 월드컵의 공인구의 이름은 자불라니였어요.
처음
에는 역대 축구공 중에 가장 구 모양에 가깝다는 칭찬이 자자했어요. 하지만 선수들에게는 ‘자불라니(잡으려니) 잘 안 잡히네’라는 말이 나올 만큼 불만이 많았던 공이었죠. 오늘 선생님과 함께 입체도형을 공부하면서 더 좋은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08
빠질 뿐 좀비처럼 변하지 않았다. 그는 “좀비 상태를 만들때 테트로도톡신은
처음
단계에서 꼭 필요한 성분”이라고 결론지었다. 같은 해 일본 토호쿠대 카베시 야스모토 교수는 사람을 좀비 상태로 만들 수 있는 테트로도톡신의 적정량을알아내 독성물질에 대한 저널 ‘톡시콘’에 발표했다. 그는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08
비난을 진화하고 나섰다.오심을 막기 위해 첨단장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번이
처음
이 아니다. 하지만 FIFA는 첨단장비가 경기의 흐름을 끊고, 심판의 권위를 훼손하며, 정확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어 도입을 반대해 왔다. 특히 야구나 테니스 등 수시로 중단되는 경기와 달리 축구는 피치 ... ...
한국판 ‘아이언맨 로봇’ 120kg 들고 9시간 활동
과학동아
l
201008
Powered Exoskeleton Robot)’를 개발했다.국내에서 군사용 입는 로봇을 만든 것은 이곳이
처음
이며 9월 공식 공개 예정이다. 지금까지 군사용 입는 로봇을 개발한 국가는 미국뿐이다.사람이 몸에 걸치면 평소보다 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이런 로봇을 ‘입는 로봇(wearable robot)’ 또는 ‘외골격로봇(robot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08
생물학적 여과는 미생물을 이용해 수조 안 생태계에 자정 기능을 제공한다.수조를
처음
만들었을 때는 미생물이 부족해 생물학적 여과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때는 물리적 여과와 화학적 여과를 사용해 물을 깨끗하게 해 준다. 시간이 지나면 저면이나 수초에 있던 미생물이 번식해 생물학적 여과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08
당뇨병은 치료약이 없는 불치병이었다. 그 원인이 인슐린 부족 때문이라는 게 밝혀진 뒤
처음
엔 돼지에서, 나중엔 인슐린 유전자를 집어넣은 미생물에서 인슐린을 추출해 투여함으로써 놀라운 증상개선 효과를 봤다. 오늘날도 수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인슐린 주사 덕분에 정상에 가까운 삶을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08
정 교수는 지난해 제19회 호암상을 받았다.마감에 쫓기다 대박을 터뜨리다“그 기술을
처음
개발한 게 1995년이었어요. 당시만 해도 영상 정보를 고속으로 보낸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어요. 물론 비싼 반도체를 쓰면 가능했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웠고, 흔히 쓰는 싼 반도체(CMOS 반도체)로 그 일을 ... ...
“평범한 우등생보다 잠재력이 중요”
과학동아
l
201008
맞는다. 300명을 선발해 한 명도 빠뜨리지 않고 훌륭한 교육을 시키는 게 목표다. 따라서
처음
부터 알맞은 학생을 뽑을 필요가 있다. 다만 새로 들어오는 학생들이 4년 뒤 졸업할 때까지 어떻게 변하는지 통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하고 있다. 그런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 요소나 방법을 계속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08
질병의 전염 기제를 인용한다.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주인공을 모순된 감정에 빠뜨린다.
처음
에 좀비에 물린 사람은 피해자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가 가해자인 좀비가 돼 버린다. 만약 그 피해자가 주인공과 가까운 친지이거나 주인공의 애인이라면, 주인공은 엄청난 갈등에 빠지게 된다. 내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