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산
회계
셈
산출
원가계산
원가
합산
d라이브러리
"
계산
"(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시간이 조금씩 달라진다. 이 시각 차이를 이용하면 삼각법을 이용해 공의 위치를
계산
할 수 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원리와 같다. 선수의 몸에 전파발신기를 달면 공과 선수의 위치를 모두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골라인 통과 여부뿐만 아니라 오프사이드까지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전통적인 방식과 승 교수가 주도하는, 뇌를 먼저 이해해 컴퓨터의 설계에 적용하는
계산
신경과학 등 두 가지가 있다. 승 교수는 “컨넥톰이 먼저 뇌를 구현할지 아니면 컴퓨터가 발전해 뇌의 기능을 갖게 될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고 전제한 뒤 “두 가지 방법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시너지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세 양동이 반이라는
계산
결과가 나와 그만큼 물을 퍼부었지만 불은 꺼지지 않았어요.
계산
하는 동안 불길이 더 번졌기 때문이죠.”정 교수는 “그럼 공학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고 물었다. “공학자는 여러 상황에 대한 실험 결과를 미리 머리 속에 담아 두고 지금 불을 끄려면 4개의 양동이가 ... ...
타이탄의 호수 얕아졌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지난 4년 동안 호수 경계가 지역별로 후퇴한 거리를 이용해 수면이 낮아진 정도를
계산
했다. 그러나 아직 타이탄의 북반구에 있는 다른 호수에서는 수면의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아론슨 교수는 “언젠가는 같은 현상이 관측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계절에 따른 변화와 장기간의 기후 변화를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세계에서 처음으로 내놓았어요. 가고자 하는 층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이 먼저
계산
을 해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 줘요. 게다가 에너지도 20%나 적게 쓸 수 있지요. 이 밖에도 냉장고, TV 등 터치 기술은 빠르게 생활 속으로 들어오고 있답니다.만지지 않아도 알아요!끝이 날 것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위해서 많은 벡터
계산
이 필요하며, 유속을 고려해서 항해하는 배를 운항할 때도 벡터의
계산
이 필요하다.또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때 많이 쓰인다.이처럼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작은 곤충세계에도 그들만의 ... ...
서로 닮은 수학과 법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그 수에서 1을 빼요. 지수의 밑수를 다시 1씩 증가시키고 그 수에서 1을 빼요. 만약
계산
에 의해 증가하고 있던 밑수가 없어지면 1씩 계속 빼요. 이 방법을 계속 반복하면 결국 0이 된다는 정리예요. 굿스타인 정리는 참이지만 주어진 공리에서 증명할 수 없어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법체계에 ... ...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수학자들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어요. 중국의 수학자 유휘는 무려 정3072각형까지
계산
했답니다. 다각형을 이용해 π값을 구하는 방법은 17세기에 새로운 방법이 나오기 전까지 2000년 넘게 계속 사용되었어요.사랑 : 선생님, 질문 있어요. π의 정확한 뜻은 뭔가요?선생님 : π는 원주율이라고도 하는데, ... ...
지구를 탈출하는 꿈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벗어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속도를 탈출속도라고 한다.쥘 베른은 가능한 정확한
계산
을 바탕으로 소설을 썼지만 대포알에 사람을 태워 달에 보내는 일은 불가능하다. 300미터 포신 안에서 11.2km/s로 가속되면 평균 가속도가 너무 커져 그안에 탄 사람의 몸무게가 20000배 이상으로 늘어나기 ... ...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위성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정지궤도에 있다. 로켓을 타고 드넓은 우주로 올라간 인공위성은 모두 엄밀하게
계산
한 위치와 속도를 바탕으로 제자리를 찾는다. 로켓이 우주로 올라가는 길을 닦을 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이 안정된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본적인 학문이 바로 수학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