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1. 현장교사에게 듣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많다. 필자는 적중률이 가장 높은 문제는 기존에 출제된 문제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남아
있는 날 동안 최선을 다하는 것이 어떤 대비책, 어떤 요령보다도 중요하며 자신감을 갖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수험생들의 건투를 빈다 ... ...
5억년 전 지구 신비를 한 눈에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화석 가운데 생물체가 화석이 된 것을 체화석이라 하고, 생물의 발자국 등 생활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생흔화석이라고 하는데, 이번에 전시되는 화석은 고생대에서 신생대까지 번성했던 고생물들의 체화석이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세계 유일의 신생대 화석으로 볼리비아에서 출토된 해바라기 ... ...
추억 속의 헤일-밥 혜성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방문을 기약하면서 우리의 시야에서 사라졌다. 이제는 사람들의 가슴속에 추억으로
남아
있는 혜성의 모습을 천체사진가 김상구씨의 '혜성사진전'을 계기로 다시 본다. 감상구 천체사진전 '별이 있는 하늘' 천체사진가 김상구씨가 다섯 번째 개인전을 연다. 이번 전시회는 96년과 97년 봄에 밤하늘을 ... ...
다시 뜨는 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표면의 물은 시간이 흐르면 증발해 없어지지만 지하에 묻혀있는 얼음은 오랫동안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크레이터에는 5-6m두께의 얼음이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클레멘타인 위성에서는 전파(radio wave)를 이용하여 얼음증거를 수집했다. 전파는 달 표면을 뚫고 지하에 얼음이 있는지 밝혀준다. ... ...
2. 잠재의식을 키우는 창의성 교육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사고과정을 포함한다.그런데 이 모형에서 휘젓는 동작을 멈춘 후에도 액체의 유동이
남아
(이것을 잔류라고 함)알갱이가 느리지만 서서히 위로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의식적인 사고가 중단돼도 잠재의식이 계속 일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획기적인 수많은 발명과 발견이 ... ...
물이야기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강이나 호수의 바닥에 가라앉아, 한 여름이 되어도 바닥의 얼음은 대부분 녹지 않고
남아
있을 것이다. 결국 해가 가면 갈수록 얼음은 점점 더 많아져 우리가 쓸 수 있는 물의 양은 점점 더 줄어들고 말 것이다.한편 물은 열 전도가 큰 데 비해 얼음은 작다. 얼음이 물처럼 열 전도가 잘 된다면 추운 ... ...
움직임에 숨겨진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줄무늬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먼저 본 대상의 잔상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가현운동현란한 네온산인의 정체두개의 불빛이 번갈아가면서 켜지면 별개의 전구가 켜지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하나의 전구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즉 분리딘 두가지 장면이 ... ...
전자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핵심인 전자. 올해로 전자가 발견된지 1백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점이
남아
있다. 이번호에 소개하는 사이트는 전자발견 1백주년을 기념하는 온라인 전시관이라 할 수 있다. "삶, 우주, 그리고 전자"(http://www.iop.org/Physics/Electron/Exhibition/)라는 제목을 가진 이 사이트는 전자란 무엇인가?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펑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남아
있어야 한다. 삐뚤어진 사회에 대한 비판과 저항, 젊은이의 패기와 열정은 계속
남아
서 사회가 고여 썩지 않도록 견제해야 한다.사이버펑크의 정신 역시 마찬가지다. 과학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보다 나은 미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기술 그 자체에 예속돼서는 안된다. 그런 의미에서 ... ...
1. 당신을 해피룸으로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발전감성공학은 뇌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뇌는 과학에서 ‘마지막
남아
있는 미개척지’다. 이미 미국에서는 지난 10여년간 6억달러(5천4백억원)나 되는 돈을 뇌를 연구하는데 쏟아부었다. 일본에서도 뇌과학을 연구 1순위로 정하고 앞으로 20년간 2조엔을 투입하기로 예산을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