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되풀이
중복
순환
거듭
회귀
재발
2중화
d라이브러리
"
반복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KIST 휴먼로봇 센토 1차 모델 발표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한편, 팔과 허리, 손의 구조를 인간의 관절 운동에 가깝게 설계해냈다.제한된 환경에서
반복
작업을 하는 산업용 로봇과 달리 자신이 처한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판단해 자유롭게 움직이는 휴먼 로봇은 원자력발전소 내부나 해저 등의 극한 작업과 인력난이 심한 분야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표현할 수 있다. 캐릭터 설정에서도 일단 설정된 자료를 컴퓨터 기억장치에 저장해 두면
반복
해서 그릴 필요가 없다. 캐릭터의 동작만 조종하면 된다.또 원화만 그리고 그 변형에 대한 자료를 주면 중간의 그림 동화는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다. 컴퓨터는 선을 자유롭게 처리해 주고, 중간 프레임 ... ...
사람 유전자 인공적으로 합성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염기서열은 이미 밝혀져 있다. 이들은 모두 짧은 염기배열로 이루어진 조그만 가닥이
반복
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다.윌라드박사는 짧은 염기배열 한 단위를 일단 시험관에서 합성시킨 후 이를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이라는 과정을 통해 대량으로 증폭켰다. 그리고 특정 효소를 이용해 이 ... ...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경우 블랙홀에서는 빛이 나올 수 있다. 이를‘호킹복사’라고 한다. 결국 호킹 복사가
반복
되면 블랙홀은 증발해 없어진다. 블랙홀의 증발은 질량이 작을수록 빨리 일어난다. 블랙홀이 증발할 때에는 감마(γ)선이 나온다. 그러나 그 감마선의 세기가 너무 작아 블랙홀이 증발하는 현상은 관측할 수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총을 재장전하는데 걸리는 몇십분 정도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때 다음 열들이
반복
해서 일제사격을 가하고 뒤로 빠진다.적의 대오가 흩어질 때쯤 중앙에 있던 창병이 진군하기 시작한다. 이때 사각형의 진은 일렬횡대로 바뀐다. 어깨를 맞대고 진군하는 창병은 이미 지리멸렬해진 상대를 ... ...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배자(embryo)라고 한다. 배자는 분할소구(blastomeres)라는 세포들로 나눠지는 과정을
반복
하면서 성체로 자라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란성 쌍둥이는 수정된 난자가 처음 분할할 때 하나의 생명체로 발생하는 대신 2개의 독립적인 개체로 나누어져 발생을 지속한 것이다. 스틸만과 할은 바로 일란성 ... ...
Ⅰ. 속임수?이해가능한 과학적 연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탈출마술을 익히기 위해 마술가들은 온 몸에 피멍이 들 정도로 연습을 한다. 수많은
반복
연습만이 짧은 시간 안에 탈출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시키기 때문이고, 또 혹 있을지 모를 실수에 대해 100% 완벽을 기하기 위해서다.탈출마술의 1인자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활동했던 마술가 후디니를 ... ...
3만분의 1확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0개월 정도의 개발기간을 거쳐 양산에 들어간다. 물론 이 기간동안 수도 없이 수정작업이
반복
된다. 외향 설계에 맞추어 그동안 독자적으로 개발되고 있던 엔진 등 파워트레인계가 차체와 첫번째로 만나서 만들어지는 것이 프로토카(proto car)다. 이때는 양산의 개념이 아니고 5대에서 10대 정도만 ... ...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반복
되고 있는 과학적 오류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광선은 모두 평행인가? 우주공간의 중력은 0인가?모든 작용에는 동일한 크기의 반작용이 있는가? 구름 많은 날 그림자가 안보이는 것은 햇빛이 밝지 않기 때문인가? 이 모든 질문들은 우리가 이미 중 고등학교 시절을 거치며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사이 ... ...
시베리아의 진주 바이칼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필자가 방문했던 1월에도 두께 1.5m의 얼음이 시원한 길을 만들어줬다. 결빙과 해빙을
반복
하면서 만들어낸 얼음 조각들이 겨울 바이칼 풍경의 진미를 보여준다.바이칼 호수 주변의 사람들에게 호수는 삶의 터전이다. 얼음에 두 개의 구멍을 뚫어 양쪽에서 그물을 잡아 당겨 고기를 잡는데, 이 기술은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