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더 공부한다면 보안전문가로 충분히 일할 수 있다.회사에서 많은 일을 관리하는 부사장
자리
에서도 수학적 사고는 빛을 발한다. 안 부사장은 “매일 결정을 내려야 할 일이 너무많다”라고 하면서 “결정해야 할 문제를 가운데 놓고 그 아래에 관련된 일을 다시 배열한다. 그리고 아래에 놓인 일이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김필립 교수는 저널에 실린 주요 논문에 대해 토론을 하는
자리
인 ‘네이처 포드캐스트’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기하광학(geometric optics)이란 빛이 지나가는 경로를 선으로 표시하며 반사와 굴절만을 고려해 광학현상을 해석하는 방식이다. 선으로 표현된 빛의 궤적이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특유의 맑은 소리 덕분에 창작 국악곡을 연주할 때도 많이 쓰인다. 완전한 우리 악기로
자리
매김한 것이다. 만약 홍대용이 없었다면 전통음악에서 양금의 청아한 소리를 더 이상 들을 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팔음(八音)국악기 분류법이자 악기를 만드는 재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금(金), 석(石),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옥수수(6억 9500만t)와 쌀(6억 3400만t)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3위다. 밀이 이처럼 주곡의
자리
를 차지하게 된 이유는 가루를 내 국수나 빵같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만일 어느 순간 밀이 사라진다면 우리는 수타 자장면의 쫄깃쫄깃한 맛과 라면의 꼬들꼬들한 촉감을 추억하며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같은 코너를 일부 잠식할 수도 있다”며 “하지만 그보다는 문자와 영상이라는 각자의
자리
에서 공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트위터의 메뉴가 영어나 일어로 적혀 있는 점도 문제다. 간단한 조작법을 익히는 것이 어렵지는 않지만 사용자 환경이 외국어로 도배된 사실이 국내 사용자들을 ... ...
승자의 저주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지켜보고 있을 때 용감한(?) 사람 둘이 밤에 부대에 다가가서 경매를 벌였는데, 황제
자리
를 산 이는 두 달 만에 쫓겨나고 살해당했다. 그를 죽인 사람은 경매에 참가하지 않고 스스로 황제라고 선언한 헝가리 지방의 군대 사령관이었다.찬찬히 생각해보면 경매는 간단한 행위가 아니라는 사실을 쉽게 ... ...
기술과 경영의 다리가 되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10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 만에 기술경영 분야의 세계 최고 연구실로
자리
매김했다. 지도교수인 박용태 교수가 세계 50대 기술경영연구자로 선정된 것은 연구에 대한 열정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또 그동안 기술경영연구실을 다녀간 선배와 현재 몸 담고 있는 많은 연구원들의 밤낮 없는 노력이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점액과 조직을 뜯어 먹는다. 놀랍게도 도미는 죽을 때까지 자기의 혀가 없어지고 그
자리
에 다른 동물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른다고 한다.대부분의 생물은 다른 생물과 서로 생존에 영향을 주면서 ‘공생’ 또는 ‘기생’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개미와 진딧물처럼 서로 이익을 주며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불렀다. 손바닥이나 종이에다 적어가면서 외우는 노력파도 있었다. 하지만 요즘 회식
자리
에서 무반주로 노래를 시키면 “가사를 몰라서…”라며 많이들 머뭇거린다. 머리를 쓰는 노력 없이 기기에 의존해 음악을 즐기는 데 어느새 익숙해진 탓이다.“어떤 소설가나 시인은 자기가 항상 쓰는 연필이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배치하는 일이라는 데는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녹색성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21세기에는 토목공학 역시 관점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바로 생태공학에서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