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결과중심의
지식
을 주입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현실은 과학교사들이 준비하지 못한
지식
은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현장의 학생들에게 전달이 안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6차개편을 통해 '현대과학과 인간'이라는 과목을 만들겠다는 시도는 과학의 사회성을 무시한 채 가르쳐온 현장에 신선감을 ... ...
「초당 1조번 처리속도」새기술 공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한 학생은 이렇게 불평했다."현재의 컴퓨터는 너무 느려. 이 기계에 아무리 많은
지식
을 집어넣어도 금방 멍청해져버린단 말이야." 그는 수천개의 프로세서들을 연결시켜 컴퓨터의 이런 단점들을 해결한다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제안을 내놓았다.그로부터 10년 후 다니엘 힐리스는 4백50명의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제안하고 있다. 그는 우리가 아직 부가의 차원들을 감지할 만큼 충분히 진보된 과학
지식
을 갖고 있지 못할 뿐 실제로는 추가의 좌표축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초감각지각을 설명하기 위해서 실제로 5차원의 개념을 도입한 예가 있다. 1965년에 케임브리지 대학의 수리 물리학자인 아드리안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예정. 실제로 국민학생들 중에 우주를 바라보는 시각이 예사롭지 않고, 천문우주에 대한
지식
이 상당 수준에 있는 아이들이 많이 있다고 한다.운주사 칠성석의 과학적 고찰아마추어천문인을 양성하는 일 이외에도 천문학도로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하는 일도 있다. 그중에 하나가 화순에 있는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떠오른답시고 이것저것 집적대서는 현대처럼 거대장비와 세분화된 첨단과학기술
지식
이 동원되는 시대에 결코 제 몫을 해내는 발명가로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언행일치라고, 그는 국민학교 시절 선물로 얻은 조그만 광석(光石)라디오가 전파를 잡는 것에 한없이 신기해하고 '나도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박테리아를 처음으로 발견한 인물이었다. 그는 박테리아가 무엇인지 아무런
지식
도 없었을 뿐더러 그 당시는 모두가 그랬다. 그 박테리아들은 그저 살아 움직이는 조그마한 알갱이들 정도로 여겨졌었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루이 파스퇴르는 그 조그마한 알갱이들이 병을 옮기기도 하고 또한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실적이 인정받아 차관으로 기용됐다고 한다.철두철미 장인정신으로 무장한 그는 해박한
지식
과 완급을 조절하는 능숙한 화술로 상대를 사로잡는 또하나의 기술도 갖고 있다.출연연구소 평가작업과정과 G7 프로젝트의 대형화 작업을 통해 그의 합리성과 강성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사람들도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화공과(공업과학과) 화학과 물리학과 등이 있다. 신소재연구가 폭넓은 기초과학
지식
을 필요로 하므로 학부과정에서는 물리학이나 화학 같은 기초과학을 전공하고 석사 이상에서 세부전공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는 연구원들도 있다.신소재 세계시장 규모는 지난해 9백48억달러에서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는 '발명교실'이다. 여기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데 발명에 관한 많은
지식
을 습득할 수 있으며, 교재와 참가비도 무료다. 이 곳을 찾으면 발명에 필요한 각종 장보도 입수할 수 있다. 또 우수발명품이 전시된 발명장려관은 연중무휴로 무료개방되고 있다.이제 좋은 발명만 하면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
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대개의 학생들은 대학입시 접수창구에서 자신의 인생행로가 결정된다. 어떤 학생은 마지막까지 눈치작전을 벌이다 몇번씩이나 고친 후에 지망학과를 써넣기도 한다. 대학의 학부과정에 입학할 때 자신의 전공이 정해져버리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가. 더구나 요즘은 각 대학이 거의 과별로 신입생을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