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뉴스
"
기초
"(으)로 총 4,815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네트워크-AI칩 집중투자… 인공지능 강국 위한 밑거름”
2019.11.01
필두로 다시 딥러닝 붐이 일어난 것이다. 창의력과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꾸준한
기초
연구 투자가 중요하다는 걸 이 사례로 알 수 있다. ▽이 교수=인공지능, 패턴인식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학회인 국제컴퓨터비전학회에 올해 등록된 논문 1000편을 분석해보니 국가별 비중이 중국 약 330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8.82km, 멀게는 6978.2km의 타원궤도를 165분 6초 주기로 돌았다고 한다. 이 보도내용을 보고
기초
과학은 역시 북한이 더 잘하는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했었다. 한편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는 광명성1호가 1998년 인공위성 목록54번에 올라 있고 그 결과가 성공으로 표기돼 있다고 한다. ... ...
ESS 성능 끌어올릴 새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기초
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로드니 루오프 단장(울산과학기술원 특훈교수)과 이장 연구위원 연구진은 슈퍼커패시터용 전극물질로 각광받는 금속유기구조체(MOF)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 ...
[뉴스룸]과로와 부정으로 얼룩진 ‘실험실 안의 대학원생’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과학을 다뤄야할 연구 현장에 연구윤리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연구자로서 가장
기초
적인 소양과 윤리를 익혀야 할 이들이 대학원 현장에서 어떤 좌절감을 느꼈을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이들이 갈리고 있던 것은 어쩌면 축나는 몸뿐만이 아니라 더 중요한 정신과 자존심이지 않았을까 ... ...
양자암호 위성통신·우주 태양광…쎄트렉 신화 이어줄 미래 위성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위성 개발에 착수했다. 우주 분야 인력을 양성하고 위성 기술을 전수 받아 빠른 속도로
기초
역량을 올리기 위한 전략이었다. 연구소가 그 동안 개발한 소형 위성은 총 9기다. 위성 개발을 통해 지구 및 우주를 관측하고 우주핵심기술을 검증했다. 우주개발 전문인력도 양성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에 ... ...
"논문 부당 끼워넣기 지시" "하루 10시간 근무" 실험실의 우울한 일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나타났다. 교육에 대한 아쉬움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로서 필요한
기초
적인 소양인 논문작성과 발표 방법을 배우는 경로는 지도교수(31%)보다 연구실 선배(3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는 인터넷 등을 통해 배운다고 답했다. 수업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도 37%에 그쳤다. 반면 ... ...
속속 완공되는 암흑물질·암흑에너지 관측장비..2020년 초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가지 후보 물질를 포함해 세 가지 암흑물질 후보입자 관측을 계속 시도하고 있다. 김영덕
기초
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장팀이 연구단 전신인 한국암흑탐색그룹(KIMS) 시절 강원도 양양 지하 700m 지점에 건설한 지하실험실(Y2L, 아래 사진)에서 윔프를 관측하는 ‘코사인-100’ 실험을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명상이 장수에도 도움이 될까
2019.10.29
뇌의 전반적인 신경 활동이 낮아지는데 주로 DMN의 활동을 억제한 결과다. 특히 명상의
기초
인 집중명상(호흡이나 신체 부위, 감각 자극 등에 의식을 집중하는 명상법)은 DMN을 통제하는 데 탁월하다. 리뷰논문에서 저자들은 명상을 꾸준히 수행해 DMN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면 일(목표지향과제 ... ...
세상에 없던 쥐로 질병 연구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성과로 창업을 희망하는 연구자를 위한 바이오 창업 강연도 열렸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
원천연구정책관은 “정밀의료 등 바이오 연구가 기술 집약적 융합 연구로 재편돼 연구자가 모든 과정을 직접 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며 “국가 인프라로 제공해 마우스 표현형분석 등 개인 연구자가 직접 ... ...
"첫 현생인류는 20만년 전 남아프리카人…지구 자전축 변화 따른 기후변화로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원인으로는 2만 1000년에 한 번씩 요동치는 지구의 자전축 변화로 밝혀졌다. 악셀 팀머만
기초
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장(부산대 석좌교수)과 이순선 연구위원팀은 호주 및 남아프리카공화국 연구팀과 함께 현생인류의 발상지와 확산 원인을 현생 남아프리카인의 DNA 해독과 고(古) 기후 연구를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