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뉴스
"
바탕
"(으)로 총 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전이 과정-우주진화 연구…계산과학 새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움직임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됐지만,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이론을
바탕
으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꼭 필요하다는 게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염민선 KISTI 계산과학응용센터장은 “관찰만으로는 세포가 왜, 어떻게 움직이는지는 알 수 없다”며 “모델 예측은 실험의 효율을 ... ...
[과학 게시판]한약자원연구센터 문열어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등 다양한 주제의 신규 영상을 천체투영관에서 상영할 계획이다. 최신 과학 이슈를
바탕
으로 제작된 콘텐츠를 초고화질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참고로 지름 2㎜인 빗방울의 종단속도는 초속 7m에 이른다. 연구자들은 이 데이터를
바탕
으로 민들레 씨앗의 저항계수를 계산했다. 저항계수는 저항력(중력과 같은 크기로 방향은 반대)에 비례하고 물체의 종단속도의 제곱과 막혀 있는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민들레 씨앗 갓털의 경우 원반의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2차 발사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비행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다. 연구진은 앞선 1, 2차 발사에서 얻은 비행 데이터를
바탕
으로 우리새-2호의 성능을 개선한 뒤, 다음달 6일 3차 발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권 교수는 “현재 단계에서는 로켓의 정확한 비행궤도 제어와 도달 고도 같은 비행 성능 개선이 제일 중요하다”며 “당분간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확인했고, 그에 따라 가바 수용체의 개수나 활성정도 등이 달라진다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
으로 신경세포 종류를 새로 분류한 것이다. 타직 연구원은 “뇌 속 신경세포 연구 중 가장 포괄적으로 진행된 작업으로 15년의 걸친 분석 작업의 결과”라며 “각각의 세포가 특정 위치에 왜 존재하는지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우주가 확장한다는 생각을 전혀 하지 못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바탕
으로 우주가 정지해 있다는 관점과 반대되는 결과들이 일부 나오긴 했지만 실제 우주가 움직인다고는 누구도 입증하지 못했다. 이때 허블은 안드로메다 은하의 별의 밝기를 추적해 우주가 역동적으로 ... ...
한국-UAE 메르스·우주탐사 공동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이 협력해 양국 정보통신기업 사이의 협력과 인적교류를 지원할 계획도 세웠다. 이를
바탕
으로 양국은 두 나라의 벤처캐피털 협력과 스타트업 교류가 활성화되고, 국내 유망 벤처기업이 중동에 진출할 기회 역시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공동위원회를 통해 ... ...
우리은하, 100억년전 위성은하 먹고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만드는 위성이다. 헬미 연구원팀은 올해 초 공개된 가이아의 22개월치 측정 자료를
바탕
으로 태양 주변 약 10킬로파섹(빛의 속도로 3만3000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는 약 700만 개의 별들의 움직임을 3차원 공간 속에 배치하고 각각의 별의 속력과 움직이는 방향의 변화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 관측한 ... ...
“10년 전 ‘자성 그래핀’ 주변 반응 냉담했지만…지금은 함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만큼 물리학자들이 숙원인 ‘두께 없는 2차원 자석’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
으로 초소형 컴퓨터, 스핀 메모리 소자 등 기존의 물리 현상을 뛰어넘는 새로운 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박 부단장은 한국 과학계가 너무 화려한 것만 좇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 ...
앉아만 있던 그가 다시 걷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통해 다리를 움직이도록 신호를 보내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정교하게 밝혀냈다. 이를
바탕
으로 인체 척수에 전극을 삽입해 걷는 데 필요한 다리 근육을 정확히 골라 필요한 때 선별적으로 자극하는 새로운 치료 기술을 완성했다. 왼쪽 다리를 들어 앞으로 내뻗기 위해서는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야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