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뉴스
"
호
"(으)로 총 3,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폴로
호
달 샘플에 묻은 유기물의 출처는 지구!
2015.10.29
연구팀은 먼저 달에서 채취한 상태 그대로 특수 보관실에 밀폐 보관해둔 아폴로 16
호
, 17
호
의 토양 시료 7개에 유기물이 있는지 검사했다. 그 결과 당시와 마찬가지로 시료 전체에서 0.2~42.7ppb(1ppb는 10억분의 1)의 낮은 농도로 아미노산이 검출됐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기본 단위로 피부와 ... ...
예술가를 사랑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5.10.29
‘미래에 사라질 직업’이라는 리스트가 유행이다. 생산직을 비롯해 버스와 택시 기사 등이 눈에 띈다. 기자 역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이 리스트에서 절대 볼 수 없는 ... 감상하러 미술관에 들러야 할지도 모르겠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1월
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옆 사람이 결핵? “무조건 검사받아라!”
동아일보
l
2015.10.23
있다고 알려졌다. 이 때문에 산후조리원 사건 취재 당시 아기의 결핵 치료를 거부하는 보
호
자도 만날 수 있었다. 그러나 전문의들은 오히려 영아에게는 치료제가 큰 부작용이 없다고 말한다. 김종현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성인은 투약 전 (간 기능 검사를 위한) 혈액검사를 ... ...
“1인 기업 시대에 산업계 부응해야”
2015.10.22
민간 서비스가 빈틈을 메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뉴턴 회장은 서울 용산전자상가에 1
호
점이 들어설 예정인 ‘테크숍코리아’에 대해서 “아직 계약이 완료되지 않아 자세한 얘기는 할 수 없다”면서도 “테크숍은 발명품을 직접 만들어 보는 데 꼭 필요한 것을 선별해 모아둔 곳으로 한두 종류를 ... ...
일개미도 여왕개미 될 수 있다
2015.10.20
- 베이브럼연구소 제공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장편 소설 ‘개미’에는 주인공 103
호
가 로열젤리를 먹고 여왕개미로 변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최근 영국 연구진이 소설 속의 장면이 실제로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솔렌 파탈라노 영국 브리스톨대 베이브럼연구소 박사가 이끄는 국제 ... ...
‘新 엘도라도’ 성층권 우주전쟁
동아일보
l
2015.10.20
항우연은 앞으로 수일 이상 성층권 연속 비행이 가능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김승
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정익기연구단장은 “2차전지의 용량을 높여야 수일 이상 장기간 비행이 가능할 것”이라며 “카메라를 비롯한 센서, 기타 장비의 경량화 연구가 수반돼야 인터넷 통신 중계, 기상 관측, ... ...
제 2의 태안사고 막는다… 해양오염 10배 빨리 처리하는 방법 찾았다
2015.10.14
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0월 38
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소수성과 친수성을 동시에 지진 신개념 물질.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
SK 와이번즈 울린 야구 명언 ‘히드랍더볼’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떨어질 테니까요.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챌린저
호
폭발 사건, 엑슨 발데즈
호
기름유출 사건 등도 담당자의 수면 부족에서 비롯된 실수라고들 합니다. 야구에서 유격수는 끊임없는 수비 이동 때문에 체력 소모가 포수 다음으로 큰 자리입니다. 금세 피로가 쌓이고, 실수를 하게 되는 ... ...
스승-제자 30년 넘게 ‘代물림 연구’… 日정부는 전폭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동아일보] [노벨상 日의 교훈/ 멀리 본 일본]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가지타 다카아키(梶田隆章) 도쿄대 교수는 6일 소감을 밝히면서 두 명의 스승을 거론했다. 200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고시바 마사토시(小柴昌俊) 도쿄대 명예교수와 2008년 세상을 떠난 도쓰카 요지(戶塚洋二) 전 도쿄대 명예교 ... ...
진짜 같은 인공 세포핵 첫 개발
2015.10.05
선천적인 유전질환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어 의학계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엄숭
호
성균관대 화학고분자공학부 교수팀은 세포 내 핵의 기능을 흉내 낸 인공 세포핵 개발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세포 핵 내에 다량의 유전자들은 히스톤이라는 단백질로 포획돼 있다. 연구진은 히스톤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