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브 맥커리의 ‘진실의 순간’
과학동아
l
201004
건넌다. 매년 찾아오는 힘들고 고된 삶이지만 노인은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다. 맥커리의
사진
이 꾸밈없이도 아름다운 이유는 다양한 사람들의 생활 속에 들어가 가장 평범한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담기 때문이다 ... ...
귀는 속여도 코는 못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04
사용하면 신원 파악이 좀 더 확실해질 전망이다. 현재 연구팀은 혈연관계에 있는 160명의
사진
을 분석해 비슷하게 생긴 가족이라도 코 모양으로 신원을 밝힐 수 있을지 연구 중이다. 물론 코를 다쳐 모양이 바뀌었거나 코 성형을 한 경우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04
가는 파이프와 탈염 장치가 들어 있는 손안에 ‘쏘옥’ 들어가는 크기의 탈염 장치(
사진
)를 최초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는 동전 위에 올려놓을 만큼 충분히 작고 컵 하나에 물을 채우는 데 스탠드 하나를 켜는 정도의 전기를 쓴다.한 교수는 소금물을 민물로 만드는 데 한 번도 사용된 적이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04
했다. 1950년대 미국 듀폰과 록펠러재단에서 육종 연구를 진행하던 노먼 볼로그 박사(
사진
)는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은 밀 ‘소노라’를 개발했다. 멕시코, 파키스탄, 인도 등에 보급된 소노라는 개발도상국의 식량생산량을 급속히 끌어올리며 식량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시작했다. 당시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04
현 교수님,학생들 가르치랴 연구하랴 바쁘실 텐데 창의연구단협의회장까지 맡으셨으니 더 바쁘시겠네요?현택환 교수 : 아무래도 챙겨야 할 일이 하나 더 생겼으니 그런 면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2002년 연구단에 선정된 덕분에 그동안 좋은 연구결과를 많이 낼 수 있었으니까 1년 임기 동안 열심히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04
“진화적으로 살아남은 종은 계속 진화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퇴화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답의 집합들이 한 세대에 존재하는 유전자들을 의미한다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답은 그 속에 존재하는 가장 우수한 형질의 유전자로 볼 수 있습니다.”서울대에 파란 눈의 남자가 출현했다. 양복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친구들도 조심하자!❸
사진
처럼 ㉣의 고를 꺾어서 올려놓는다.❹ 이제 ㉢가닥을
사진
처럼 직각으로 접어 올린다.❺ 마지막으로 ❸에서 꺾어 올린 ㉣의 고를 ㉡의 고 뒷쪽으로 한 번 감는다. 그런 다음 ㉣의 고를 가운뎃손가락의 고리 아래로 끼워 넣는다.❻ 가운뎃손가락을 빼고 동서남북 네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03
부딪쳐 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해 비를 예측할 수 있어요. 위성이나 비행기에서 관측한
사진
이나 자료는 넓은 지역의 기상변화를 보는 데 중요합니다. 기상현상은 세계 전체적인 흐름이므로 세계 곳곳의 관측소는 같은 시각에 관측한 값을 공유하기도 해요. 이렇게 모은 자료는 관측범위나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03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거리를 비췄을 때 거리에 있는 상점들의 부동산 정보가 실제
사진
과 겹쳐 보이게 한다거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을 보여주는 식이다.이런 모바일 증강현실은 언제 어디서든휴대전화만 있으면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직까지는 디지털 ... ...
두 소행성 충돌이 낳은 우주방랑자
과학동아
l
201003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두 소행성이 충돌해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혜성 ‘P/2010 A2’의
사진
을 공개했다. 이 혜성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소속 링컨지구근접소행성연구팀(LINEAR)이 1월 6일 처음 발견했다.시속 17만km로 우주를 날아다니는 이 혜성은 태양에서 3억km, 지구에서 9000만km 떨어진 곳을 날고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