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예상밖
d라이브러리
"
생각밖
"(으)로 총 2,94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의 숨은 주인공 산·알칼리 공업
과학동아
l
198707
천연원료에서 인공합성에 이르기까지 산·알칼리 공업의 발자취는 바로 근대화학공업 발달의 역사였다. 산을 영어로 'Acid'라 한다. 이 말은 라틴어의 '시큼하다 Acidus'에서 유래한다. 고대 연금술사들이 알고 있었던 산은 식초나 과일즙 뿐이었다. 그러나 중세 아라비아 연금술사 '게버'(약 721~약 815) ... ...
내가쓰는 컴퓨터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
과학동아
l
198707
컴퓨터와 친해지는것이 컴퓨터를 정복하는 길이다. 오늘도 하루일과를 마치고 컴퓨터 앞에 앉는다. 컴퓨터와의 무언의 대화는 이렇게 시작된다. 컴퓨터를 처음 만났을 때는 사람을 대하듯 서먹서먹 하였었으나 지금은 없어서는 안될 꼭 필요한 존재가 되어 있다. 컴퓨터와 처음 만난 것은 지금부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07
별의 최후를 장식하는 가장 격렬하고 화려한 현상이 초신성 폭발이다.칠레의 '캄파니스' 천문대에서 대 마젤란 성운을 관측하던 캐나다 터론토대학의 천문학자가 '아이언 셀턴'은 크게 낙심했다. 사진감광판에 희고 큰 반점이 찍혀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치 조작의 실수가 없음을 확인하고난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07
콜라에서 사이다 주스류, 환타 써니텐 등 가향음료와 보리음료 그리고 스포츠음료에까지 각종의 청량음료가 범람하고 있다. 청량음료를 많이 찾는 계절이 왔다. 6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사이다가 고작이던 것이 콜라에서부터 각종 과일음료에 요새는 '스포츠음료'라는 것까지 나와 소비자들의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07
푸른 바다와 흰구름,그리고 산호초와 뜨거운 모래 그 아름다운 산호초는 어떻게 생기는가. 산호초. ―그것은 얼마나 로맨틱한 이름인가. 강렬한 태양아래 바람에 흔들리는 야자나무 그늘에 앉아 바다를 내다 보고있으면 암초(reef)에 부딪쳐 부서지며 흩어지는 파도소리가 상쾌하게 사람의 마음을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07
컴퓨터와 로보트가 움직이는 미래의 병원은 공포없는 편안하고 친숙한 장소가 될 것이다. 에어로빅 댄스 강습이 이제 막 끝나려고 한다. 30분 뒤에는 이 방이 강의실로 쓰일 것이다. 2019년 7월 20일 저녁의 강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에 관한 것이다. 2층에서는 새로 입원한 2쌍의 늙은 부부가 신 ... ...
미국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로잘린 얄로우
과학동아
l
198707
아무리 우수해도 연구소 조수 정도로 밖에 인정받지 못하던 시절을 딛고 일어선 다부진 여성. 그러나 우먼리브의 맹목성에는 비판적이다. 남녀평등의 대표적인 나라가 어디냐고 물으면 누구든지 미국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런데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훈련 받은 최초의 여성 노벨 수상자가 ... ...
전자출판 대백과사전을 한장의 디스켓에
과학동아
l
198707
컴퓨터의 생활화는 인쇄문화에까지 커다란 변혁을 요구하고 있다. 전자출판이 실용단계에 이르면 책 신문 사전은 어떻게 변화될까. 자동차 부품상을 경영하는 J씨는 아침에 일어나 간단한 세면을 마친후 컴퓨터앞에 앉는다. 간밤에 무슨 일이 있어났는지 이불속에서 신문을 뒤적이던 때와는 달리,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07
영원히 변치않는 것처럼 보이는 별. 그러나 별은 인간의 생애처럼 탄생과 성장 그리고 죽음을 되풀이 한다. 영원한 것은 극적인 최후를 맞은 별이 다시 어린 별로 태어나는 윤회를 거듭한다는 사실.은하계의 소용돌이 팔속에서 청백색의 어린 별들이 태어나고 있다. 밤하늘을 수놓는 수많은 별들. ... ...
PART4 태양의 운명에 관한 현대과학의 예언
과학동아
l
198707
"지구를 삼키고 50억년후엔 사라져" 지구에서 가까운 별은 말할 것도 없이 태양이다. 다른 별에 비하면 태양에 관해서는 비교적 많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구 생명체의 어머니격인 태양의 자세한 실상은 아직도 수수께끼로 가득 차있다. 아뭏든 분명한 사실은 현대의 우주론을 받아들이는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