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위험 부담 없이 큰 수익을 올릴 수 없다는 뜻이다. 정 부사장은 위험을 감수한 대가로
기존
의 틀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 새로운 무언가 추구하는 능력을 얻었다.벤처캐피탈이라는 용어조차 생소했던 1997년 투자업계에 입문해 한국 최초로 바이오전문펀드를 만들고, 2002년부터 항암제 신약후보물질을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기술적 문제를 검증한다. 제일 중요한 과제는‘300초 운전’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
기존
에 전자석으로 만든 핵융합장치는 구리선의 전기저항으로 엄청난 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냉각수를 흘려 넣어주면서 열을 식혀야 하므로 대개 20~30초 가동하고 20~30분 쉬었다가 다시 가동할 수밖에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연구소를 거쳐간 연구 인원은 1만명이 넘고 이들이 쓴 논문만 무려 1700편이 넘는다.현재
기존
방사광원보다 100억배 더 밝은 빛을 내는 제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건설하고 있다. 이런 것도 있다!미스코리아부터 공포의 78계단까지KAIST●● KAIST에는 미스코리아가 있다! 지난해 여름 KAIST에는 조용한 ... ...
건강한 온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온도에 따라 백금의 저항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해 온도를 측정한다.김 박사는 현재
기존
의 고정점(온도 기준)이 안정한지를 점검하고 새로운 물질의 특정온도로 고정점을 삼을 수 있는지 탐색하고 있다. 또 온도표준의 오차(불확도)를 1μK(마이크로켈빈, 1μK=${10}^{-6}$K)까지 줄일 수 있는 방안을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대응된다디지틀 오디오 디스크에 새겨진 디지틀 신호를 음향신호로 재생하는 장치
기존
의 레코드판 재생방식과 달리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음원(音源)에 가까운 생생한 음을 들을 수 있으며 디스크의 기록밀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오디오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바꾸어 기록하는 테이프리코더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심근경색의 크기(심장혈관이 막혔을 때 혈액을 공급받지 못해 죽는 심장근육의 크기)가
기존
의 1/4로 줄었다. 그는 이 결과를 미국 심장학회지 1986년 11월호에 발표했다.혈액을 공급하지 않는 방법으로 심근경색을 치료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일단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 심장세포에서 만들어지는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점을 유념하자.지난 7월 10일 취임 1주년을 맞은 KAIST 서남표 총장은 기자회견에서 “
기존
의 신입생 선발 방식이 성적 위주였다면 2008학년도 입시부터는 인성면접의 비중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공부만 잘하는 모범생을 뽑기보다는 문화와 예술 같은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이 있거나 창의적이고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교수의 말을 듣고 산화물 연구로 방향을 돌렸다. 물론 나름대로 전망도 있었다. 산화물이
기존
재료의 문제를 해결할 돌파구라고 본 것이다.당시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은 턱없이 부족했다. 연구하는데 쓸 장비가 없어 학생들과 함께 직접 만들었다. 레이저로 산화물을 얇게 쌓는 장비를 만들기 위해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극 반지름보다 50% 이상 더 긴 것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아케르나르처럼 납작한 별은
기존
에 알려진 별 내부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어 수수께끼로 남아있다.다음으로 우주에서 가장 작은 별은? 2005년 4월 국제 저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목성보다 약간 큰 ‘OGLE-TR-12 ... ...
한국 온라인게임계의 거성 송재경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학부와 KAIST 대학원 동기인 김정주 씨와 함께 넥슨을 설립한 뒤 1995년 문자에만 의존하던
기존
머드게임에 그래픽을 입혀 ‘바람의 나라’를 내놓았다. 고구려가 배경인 ‘바람의 나라’는 미국의 ‘울티마온라인’보다 먼저 제작돼 ‘세계 최초의 그래픽 머드게임’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