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용의자 X의 수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것은 ‘클레이 새천년 문제(Clay Millenium problem)’일 것이다. 2000년 5월 미국 클레이수학
연구소
는 각각 100만 달러가 걸린 7가지 수학 난제를 파리에서 공표한다. 공모기간은 무제한이다.전자암호를 열쇠 없이 풀 수 있을까그럼 클레이의 7가지 난제는 무엇일까. 바로 버츠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 호지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20세기 수학의 흐름을 바꾼 힐베르트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말을 남겼다.우리는 반드시 알아야 한다. 우리는 알게 될 것이다. _힐베르트클레이 수학
연구소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케임브리지 지방에 있는 사설 비영리 재단으로, 수학을 널리 알리고 발전시키는 활동을 하고 있다. 2000년 5월 ‘오랫 동안 풀리지 않은 중요한 기본 문제’ 7개를 발표했다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 곳곳에서 경고를 알리는 ‘빨간불’이 켜졌다. 사람들의 이기심 때문에 지구의 평균기온은 서서히 오르고 있고, 극지방의 얼음은 하루가 다르게 녹아내리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북극의 북극곰과 남극의 펭귄 같은 극지방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의 목숨까지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미리 경고를 하기 때문에 눈길 교통사고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_강중구 리트코 기술
연구소
팀장스마트한 도로는 눈이 와도 쌓일 틈이 없다자동 제설시스템이 갖춰진 첨단 도로는 어떤 모습일까요? 도로교통연구원에서는 녹색에너지와 통신장비를 이용해 똑똑한 인공지능 도로를 만들려고 해요. ... ...
[체험] 친환경자동차 연구의 기본은 수학! 자동차안전연구원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수 있도록 돕는답니다.오정환 : 아~, 그렇군요! 그럼 이곳은 자동차의 안전을 연구하는
연구소
인가요? 자동차안전연구원이라고 하니까 자동차 충돌 실험 하는 게 생각나요~.박용성 박사 : 텔레비전에서 자동차 속에 사람 모양의 인형을 앉혀 놓고 자동차를 충돌시키면서 실험하는 장면을 본 적 있죠?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99.92%까지 복제가 가능한 물질을 선보였다.2012년 7월 플로이드 로메스버그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
박사가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한 인공 DNA는 99.99%까지 정확하게 복제했다. 하지만 99.99%는 RNA 중합효소의 정확도에 불과하다.로메스버그 박사는 2012년 11월 ‘네이처’에서 “우리의 최고 성과가 이제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프로젝트 기반 시스템 도입 때문에 연구환경 안정성이 무너지면서 우수한 연구원이
연구소
를 떠날 때 느꼈던 안타까움도 절절하다. 블랙박스처럼 속이 보이지 않던 연구단지 속에서 치열하고 꾸준히 연구하는 연구원의 모습이 눈앞에 그려진다.이공계를 꿈꾸는 누군가 혹은 이공계에 종사하고 있는 ... ...
INTRO. 당신의 뉴턴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자리매김했다. 작년(2012년) 7월에는 “힉스 입자를 ‘거의’ 찾았다”는 유럽입자물리
연구소
(CERN)의 발표가 있었다 (힉스 입자는 ‘표준이론’을 완성할 마지막 단추라 불리던 입자다. 과학동아 2012년 8월호 ‘힉스 A to Z’ 기사 참조).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현대물리학의 양대 주축을 이루는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비밀을 풀어 지난해 ‘네이처’ 12월 9일자에 발표했다. 유넝 잔 UCSF 하워드휴스의학
연구소
교수와 동료이자 아내인 릴리 잔 교수는 초파리의 성장과정의 생리반응을 관찰하던 중 애벌레의 신경세포에 달려 있는 수상돌기 끝에 다량 붙어 있는 단백질 NOMPC를 발견했다. 애벌레의 수상돌기에서 NOMPC를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우리나라는 은하 3호의 1단 추진체 부품 일부를 서해에서 건져 올려 현재 대전 국방과학
연구소
(ADD)에서 분석하고 있다. 만약 연료로 TM-185를 썼다면 일부 성분이 남아 있을 확률이 높다. UDMH는 수용성이라 물에 모두 씻겨 나갔을 것이다. 채연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하 3호에 쓰는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