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많다. 연구자들은 수십년 내 약물의 목표가 되는 단백질의 수가 1만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 앞으로는 병리조직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을 목표로 약물의 구조를 디자인할 것이기 때문이다.단백질이 약물의 주된 목표로 생각되자 단백질의 구조와 특성을 알아내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만나보자. 이번호에는 기존에 출제됐던 주제인ㄴ 화학결합과 물, 그리고 출제와
예상
되는 주제인 다양한 전자기파에 대해 다뤘다.①전자기파전자기파는 파장에 따라 γ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파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자기파는 많은 시사적인 소재들과 결부돼 있기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때문이라는 말이다.다음으로 ‘불일치 이론’은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거나 전혀
예상
하지 못한 상황이 벌어질 때 갑자기 웃음이 터져 나온다는 것이다. 19세기의 영국 철학자 허버트 스펜서는 “의식이 굉장한 일에서 사소한 일로 전이할 때 감정과 감각은 신체운동을 발생한다”고 표현한다.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일반 콘드라이트)과 매우 비슷하지만 휘발성 원소인 황의 함유량이 콘드라이트에 비해
예상
보다 적었다. 이렇게 황의 함유량이 적은 점이 표면에만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소행성 전체적인 문제인지는 아직 모른다.하지만 놀랍게도 착륙한 니어-슈메이커로부터 착륙후 10여일 동안 신호가 계속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인간게놈지도 완성. 인간이라는 생명에 담겨있는 모든 유전정보가 한권의 책으로 편찬된 것에 비유될 수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의해 밝혀진 새로운 사 ... 발견됐다는 사실은 특정 생명현상에서 작용하는 여러 단백질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예상
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 ...
살아있는 암세포 생생한 영상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수도 있다. 아울러 광학 전반과 원자 물리, 플라스마 분야에 대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
된다.최근 국내 광학관련 연구가 대부분 광통신 관련 분야에 치중돼 전통적인 레이저 광학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이런 조류에서 남창희 교수를 중심으로 5명의 연구원과 8명의 대학원생이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한편에서는 남아있는 1% 게놈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서는 앞으로 10년은 걸릴 것으로
예상
한다. 그만큼 생명의 신비를 푸는 일이 만만치 않은 작업임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10년 후를 기다려서라도 1백% 완성된 완벽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결과물이 과학지에 실려야 하는 것이 아닐까. 다국적팀과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덩어리들은 없어지지 않은 채 지상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상
된다. 최종적으로 추락이
예상
되는 곳은 호주에서 동쪽으로 1천5백-2천㎞ 떨어진 남태평양상의 지점이다. 최종 추락시 점은 3월초가 될 것이다 ... ...
'블랙홀 진짜 검다' 첫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나오던 에너지가 갑자기 사라져버린다. 이번에 관측된 결과가 바로 블랙홀 주변에서
예상
되는 에너지 소멸 현상이다.미국 하버드대의 블랙홀 전문가 라메쉬 나라얀 교수는 이에 대해 “물질이 빨려들어갔다가 다시 나올 수 없는 지역인 ‘사상의 지평선’이 블랙홀 주변에 존재한다는 결정적인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형편이다.21세기에는 우주로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일도 국가 간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왜냐하면 인공위성을 많이 발사할수록 우주공간에는 우주쓰레기가 더욱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느 날부터는 우주쓰레기를 치우는 회사가 생기고 인공위성을 발사할 때마다 지상의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