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1백주년과 함께 밝혀진 생명과 물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벗겨졌다. 또 이런 결실은 언제나 노벨상의 수상 대상이었다. 노벨상 1백주년을 맞아
인류
가 밝혀낸 생명과 물질의 세계를 탐험하자.(1) DNA와 노벨상생명체의 유전정보는 DNA에 염기서열 형태로 저장돼 있다. DNA는 세포가 분열할 때 유전정보를보존하기위해그대로복제된다. 또 DNA는 RNA를 통해 ... ...
항암 치료 최전선
인류
최대의 난적 암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극복할 수 있는 속시원한 치료법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인류
최대 난치병 중의 하나라는 암은 과연 난공불락의 요새인가. 최근 암 연구의 최전선은 다소 상이한 모습을 띠고 있다. 암 조직 자체를 공격하는 기존의 방법이 아니라 암의 근본 원인인 유전자를 공략하는 것이다. 또한 원하는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비정상적으로 성장을 계속하거나 분열하는 현상이다. 현재 암은 심장질환 등과 더불어
인류
의 최대 질병 중 하나로 꼽힌다.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의 원인을 아직도 확실하게 알지 못하며, 치료방법도 뚜렷하지 않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3대 암치료법은 1950년대에 시작된 수술요법, 1960년대의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인 셈이다. 안드로메다은하의 뿌연 빛다발은 지구에
인류
의 조상이 나타났던 먼 옛날에 이 은하를 떠나 2백만년이 넘는 긴 우주여행을 마치고 우리 눈에 도착한 빛이다.안드로메다자리의 머리에서 다리로 이어지는 별을 따라 좀더 가면 페르세우스자리의 알파(α)별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전자∙컴퓨터 공학등 다양한 이공학 분야에서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모두들 21세기
인류
가 직면하고 있는 또 하나의 프론티어인 인간 뇌의 정복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최근 놀랍게 발전하는 뇌영상기술은 이전에 동물이나 뇌손상 환자들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연구가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폴로늄 발견으로 1911년 화학상을 각각 수상했다. 이런 업적은 원자핵분열 과정을 통해
인류
가 원자력과 방사선을 이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현재 원자력은 발전을 통해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방사선은 의학분야에서 암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데 활용되기 때문이다. 또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무어의 법칙에 따르면, 지난 반세기에 걸쳐 실리콘 소자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는데
인류
가 필요한 시간은 평균 18개월이 소요됐다. 만약 이 법칙이 지속된다면 앞으로 수십년 내에 우리가 쓰는 전자소자의 크기는 단지 몇개의 원자크기로, 즉 나노미터(1nm=${10}^{-9}$m)로 줄어들어, 지난 세기를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꽃에 대한 사랑은 고대 네안데르탈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지만, 아직까지 꽃에 대한
인류
의 사랑은 누군가 말했듯이 짝사랑인가보다.반면 작물은 주인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말이 있다. 이 경우 사람에 의한 땅과 공기의 적당한 진동은 식물들의 성장을 부추기는 자극이 된다. 여기에는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잊지 말아야 한다. 이 멸종의 굴레는 언젠가 우리
인류
에게도 닥쳐올 것이다. 단지
인류
의 멸망을 걱정하는 차원이 아니라,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들도 우리와 똑같이 지구의 구성원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생물을 사랑하고, 그들과 함께 사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개발해 왔고 이를 통해 새로운 미개척지를 찾아가면서 문명을 발전시켰다. 그렇다면
인류
문명의 역사 속에서 10억분의 1이라는 나노 미개척지를 열게 해준 뿌리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에서 한참 아래인 나노세계. 이를 열기까지 기술은 어떻게 발전돼 왔을까. 가장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