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한글 초성, 중성, 종성에 자음과 모음을 조합해 만들 수 있는 총 글자수는 1만 1172자다. 모든 글자를 디자인하려면 최소 3개월에서 최대 6개월까지의 시간이 걸린다.최근 그는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박사과정생과 함께 새로운 프로젝트에 도전했다. ‘느린 학습자’를 위한 글꼴을 디자인하고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300t의 추력을 낸다. 스페이스X의 팰컨9은 동급 엔진을 9개 장착했고, 스타쉽은 무려 31개를 연결해 하나처럼 사용한다. 이렇게 작은 엔진을 모듈처럼 활용해 이어붙이는 ‘클러스터링’ 기술을 이용하면 원하는 추력에 맞게 엔진을 추가하면 돼 개발 비용을 줄일 수 있다.반면 큰 엔진 하나를 쓰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과학으로 어루만지는 마음의 병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때, 세로토닌계 항우울제에 치료지연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약물의 작용을 받는 p11 단백질이 우울증 발병 기전 중 초기 단계에 작용하기 때문”이라며 “기초 약물 기전 연구를 통해 기존 의약품이 가진 한계를 개선할 단서를 찾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첨단 과학·공학 기술로 밝히는 ... ...
- [현장취재➊]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자들의 새해는 바로 오늘!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지구사랑탐사대 9기의 시작을 알리며 탐사 활동을 독려했어요. “한 해의 시작은 1월 1일이고, 학교의 시작은 3월 2일이지만, 저의 새해는 지구사랑탐사대가 시작되는 바로 오늘입니다. 이제 4월 미션으로 소리모아와 양서류 탐사가 시작되니, 적극적으로 탐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과학 뉴스] 인저뉴이티, 다른 행성의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저뉴이티의 날개를 지구 헬리콥터의 5배가 넘는 속도인 1분에 2500번으로 빠르게 회전시켰어요. 빠른 회전 속도에도 날개가 망가지지 않도록 튼튼한 탄소복합재를 날개의 재료로 사용했지요.인저뉴이티는 시험 비행을 하면서 카메라로 그동안 촬영할 수 없었던 화성의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거였다니! 나는! 이번에는! 댐을! 무너뜨렸다! 조회수 : 492만 회채널명 : HD1080ide (구독자 수 : 54.9만 명) 저번 호에 소개한 댐 만들기 영상, 기억나나요? 이번 영상은 반대로 댐이 무너지는 실험입니다. 실험자는 모래를 쌓아 만든 댐이 어떻게 침수되는지 보여주기 위해 아크릴 수조에서 실험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0화. 해롱 선장이 페가수스 선장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놀이북 10쪽과 함께 보세요! 지난 줄거리해롱 선장은 고딱지가 페가수스 선장을 존경하는 것에 질투를 느끼고, 일부러 딱지에게 온갖 사소한 임무들을 맡긴다. 함께 임무 수행에 나선 프로보는 해롱 선장과 페가수스 선장의 과거 이야기를 딱지에게 들려준다. 다음 임무에 함께 출동한 루띠는 해롱 ... ...
- [특집] 수학으로 독도를 지키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나와 함께 할래?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 수학으로 독도를 지키자!Part1.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Part2.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Part3.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Part4.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 ...
- [특집] 독도가 앓고 있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2004년부터 북한과 중국의 어업협정에 의해 중국 오징어잡이 어선들이 동해 북한수역으로 1년에 2000척 이상 조업을 하고 있어요. 이로 인해 기름 유출, 해양쓰레기 배출 같은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독도에서도 중국산 플라스틱이 수시로 발견되고 있죠. 또한 해류와 바람에 따라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둘 다 해본 적이 없어서 낯설었거든요. 다음에 로블록스 관련 수업을 한다면 선생님이 1개의 오픈 월드를 만든 후, 그 안에서 여러 학생의 구역을 나눠서 각각 만들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게임을 할 때는 그저 노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직접 만들어보니 꽤 창의력이 필요한 작업이었어요. 이참에 ...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