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49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1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큰 힘으로 부풀기 때문에 체격이 작거나 무게중심이 남자보다
아래
에 있는 여성은 좌석
아래
공간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습니다. 창문이 열려 있다면 밖으로 튕겨 나갈 수도 있어 더욱 위험합니다. Q11. 비행기의 안전띠는 왜 2점식인가요? 자동차는 사고 시 승객이 많이 움직일수록 많이 다치기 때문에 ... ...
우주에서 본 아름다운 지구 야경
팝뉴스
l
2017.04.18
지구 이미지라는 평가가 많다. 사진 속 지구는 ‘검은 구슬’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아래
사진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확대한 것이다. 서울 주변이 아주 밝다. 제주도의 경우 해안을 따라 밝은 빛이 보인다. 일본도 해변에 가까운 지역이 밝다. 한편 한반도 북부 지방은 거의 전 지역이 어둡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선택을 하지 않으면 못 견뎌 한다. 특히 조직의 위에 있는 사람이 이런 성향이 강하면
아래
있는 사람들이 피곤해진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혼란이 이런 독선에서 비롯된다는 각성이 일면서 ‘나와 다름’을 인정하는 여유를 갖자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TV 뉴스에 나온 ...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
과학동아
l
2017.04.17
수 있게 됐다. 식물의 줄기 단면을 보면 여러 개의 물관이 조금씩 떨어져서 위치해 있다(
아래
사진 참조). 즉, 전도선 여러 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셈이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전도선이 축전기의 금속판과 같은 역할을 해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 ...
[4차 산업혁명 시대, 자녀 교육은 어떻게?⑦] 코딩 교육, 왜 하는 건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인공지능이 제일 잘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딩교육을 제도
아래
서 본격적으로 시작하려는 이유는, 아이들이 한살이라도 어렸을 때 코딩을 경험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시스템을 이해하고 흥미를 느끼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것을 절대 잊지마세요. 내(당신) 아이에게 코딩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라세타의 무늬를 재현하기 위해 방정식을 세우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돌려본 결과
아래
그림과 같이 거의 비슷한 결과(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지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실제 쥬얼드 라세타의 무늬를 컴퓨터 화면에 옮겨 놓은 모습(위)과 세포자동자 이론을 활용해 개발한 밀린코비치 교수의 ... ...
[퀴즈] 이탈리아 한 수도원에는 외계인이 만든 미스터리 고대문서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만드는데요. 외계인은 정말 존재하는 것일까요? 과학적으로 밝혀진 외계인의 진실들을
아래
퀴즈를 통해 알아 보시죠. [외계인 관련기사] 1. 윈스턴 처칠 “외계인 존재” 주장한 비공개 글 발견 2. 아폴로 우주 비행사가 들은 ‘이상한 음악’의 정체 3.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 편집자 주 ... ...
우리는 행복한 휠체어 댄스팀
팝뉴스
l
2017.04.15
의지해서라도 춤을 추는 순간 모든 것을 잊고 행복감을 맛본다는 그녀. 그런 첼시의 주도
아래
롤렛 팀원들은 일주일에 한번씩 모여 안무 연습을 하고 새로운 춤을 개발한다. 지난 5년 간 전국 각지의 행사와 축제에 참여해 자신들의 열정을 보여준 롤렛 멤버들의 최종 목표는 하반신이 마비된 ... ...
“토성의 달 ‘엔켈라두스’에 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교수팀은 물기둥이 수십 km
아래
에서 표면 위로 빠르게 솟을 수 있는 이유는 얼음층
아래
에 섭씨 90도 이상의 수열(水熱)반응이 활성화돼 있기 때문이리라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실었다. 수열반응은 고온 고압의 물에 의해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암석 안 금속 성분을 산화시키면서 수소를 ... ...
산불을 두려워하지 않은 모성애
팝뉴스
l
2017.04.12
숲이다. 사진 위에는 새 한 마리가 보인다. 새는 땅바닥에 앉은 채로 숨은 것으로 보인다.
아래
사진은 이 새가 품고 있던 알이다. 새는 화마 속에서 알을 보호하려 스스로를 희생시켰던 것이다. 자신의 생명보다 더 소중한 존재를 갖고 있는 게 어미 혹은 엄마다. 불길속에 있기를 선택한 어미 새의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