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6,87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힘들었답니다.캠프에 참가한 곽수진 학생(라이노비틀즈팀)은 “도토리거위벌레도
보고
다친 매미도 살려 줬다”며, “새로운 친구와 언니, 오빠들도 사귀고 추억도 많이 만들어서 내년에도 꼭 참가하고 싶다”고 말했어요.김선주 씨(에코마우스 팀 보호자)는 “아들이 자연을 사랑해서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넘어 한강으로 들어왔다가 썰물 때 신곡수중보에 막혀 바다로 나가지 못했을 것으로
보고
계속 조사하고 있답니다.한강은 밀물 때 서해의 바닷물이 잠수교까지 들어왔다가 썰물 때 빠져나가는 ‘감조 하천’이에요. 하지만 1988년 김포대교 옆에 5.6m높이의 콘크리트 벽인 신곡수중보가 생기며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똑똑한 새끼 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서로 같거나 다르다는 것을 구분하려면 학습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네모와 세모를
보고
‘다르다’라고 생각하려면 변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배워야 하지요. 그런데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안톤 마르티노 박사팀이 갓 태어난 오리도 같음와 다름을 구분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 ...
Part1. 반려견 늘고, 유기견도 늘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않은 유기견까지 포함하면 한 해 동안 버려지는 반려견이 10만 마리를 훌쩍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특히 여름 휴가철인 8월에 가장 많이 버려지는 것으로 타나났어요.더욱 안타까운 것은 유기견들이 구조되더라도 23일 안에 원래 주인을 찾거나 입양되지 못할 경우엔 안락사 된다는 거예요. ... ...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치료를 받지 못한 채 그대로 방치되고 있었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아지들은 우리를
보고
반갑다고 꼬리를 흔들었어요. 본능적으로 사람의 손길을 그리워하는 모습에 마음이 아팠습니다.Q번식 공장을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우선 번식장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바꿔야 해요. 그래야 제대로 ...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모양을 더 잘 맞춰서 깜짝 놀랐다”며, “집에 가서 더욱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보고
싶다”고 말했답니다.수학 원리가 담긴 전통놀이 만들기도 대성공! 다음에는 또 어떤 실험이 펼쳐질지 기대해 주세요~ ... ...
Part 1. 주노는 왜 목성으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못했을 수도 있지요. 그래서 일부 과학자들은 지구의 탄생이 목성과 관련이 높다고
보고
있어요. 다른 항성계를 조사할 때 하나의 항성과 목성형 행성이 있는 항성계를 찾으면 제2의 지구를 찾을 확률도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수수께끼 1 목성의 내부 구조목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1만 3000년 전 쯤 개가 가축화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강아지 번식공장 OUT I♥반려견Part1. 반려견 늘고, 유기견도 늘고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Part 4.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얼음 도둑 ‘ 아이스 몽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우헤헤헤! 이 얼음기계를 작동시키고 싶지? 그렇다면 기계 모니터에 있는 주문서를잘
보고
얼음 모양을 골라야 해.”다행히 주문서를 제대로 해석해 필요한 얼음을 선택한 썰렁홈즈. 그런데 얼음기계를 작동시켜도 얼음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때 다시 ‘아이스 몽땅’이 얼음 그네를타면서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4
과학자들은 이 충돌의 결과로 공룡을 포함한 약 78%의 생물종이 멸종한 것으로
보고
있어요. 소행성 충돌 당시의 충격파도 문제였지만, 그 후 2차로 온 ‘핵겨울’이 멸종의 원인이었답니다.핵겨울은 외부 충격이나 화산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생긴 작은 알갱이들이 태양빛을 덮어 기온이 내려가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