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869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수의 비결이 정말 소식?
과학동아
l
201210
먹는 식단보다 열량이 30% 적은 식단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별다른 조치 없이 관찰했다.
연구진
이 20년 넘게 원숭이들을 관찰한 결과 소식한 원숭이들은 일반 원숭이에 비해 특별히 오래 살지는 않았다. 또 연구팀은 소식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원숭이들의 피를 뽑아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 ...
자폐증 치료제 나올까
과학동아
l
201210
자폐증을 앓는 아이의 망가진 신경회로를 되돌릴 수 있을까.스위스 바젤대 생명과학센터
연구진
은 자폐증으로 발생하는 ‘신경 회로의 특정 기능 장애’를 식별해 내고 망가진 신경회로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데 성공, 9월 13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세계에서 자폐증을 앓고 있는 아이는 약 1%다. ... ...
예쁜 여자만 보면 남자들 눈 벌개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10
더 잘 구분해 냈다. 반면 유채색의 색감을 구분하는 능력은 여성 쪽이 좀 더 나았다.
연구진
은 이처럼 남녀에 따라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다른 이유는 시각과 관련한 뉴런이 남녀가 다르게 발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성차이 생물학’ 최신호에 실렸다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09
독에는 없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많이 들어있어 더 고통스럽다. 한편 일본
연구진
은 지난 1982년 장수말벌 독에서 사람 잡는 성분이 ‘만다라톡신’이라는 신경독임을 밝혀냈다. 바다가재에 독을 주입한 결과 만다라톡신은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신경계의 작용을 멈추게 한다는 사실이 ... ...
메신저 호가 밝힌 수성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8
솟은 것으로 분석했어요. 수성에서도 격렬한 화산 활동이 있었다는 얘기예요. 또
연구진
은 무선원격계측장치로 수성의 중력이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도 밝혔어요. 수성의 북반부는 지각이 얇아 남반구나 적도 부근보다 중력이 더 크답니다 ... ...
9개월 아기도 언어 구별
과학동아
l
201208
언어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뉴욕대 심리학과
연구진
이 ‘발달심리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생후 9개월 된 유아들이 사람과 동물의 소리에서 언어와 비언어를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9개월 무렵 유아에게 사람과 앵무새의 언어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07
아빌드-피더슨 교수팀이 최초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을 촬영한 실험을 참고했습니다.
연구진
은 평범한 투과전자현미경 대신 ETEM(Environmental TEM)이라는 특수한 장비를 사용했습니다. 기체 실험을 찍을 수 있는 특수한 장비죠. 실험에 꼭 필요한 기체를 흘려보내는 동시에 기체를 뽑아내 진공에 가까운 ... ...
균 막으려다 알레르기 생기겠네
과학동아
l
201207
아이들은 꽃가루나 애완동물, 비듬 등 환경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IgE항체가 많았다.
연구진
은 “항균물질은 몸속에 있는 이롭거나 해로운 균 사이의 균형을 헝클어뜨려 알레르기 위험성을 높이는 면역계 조절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알레르기와 임상 면역 저널’ 6월 1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07
공기가 폐로 빨려 들어간다.허 교수가 만든 생체 칩은 이 허파꽈리를 그대로 모사했다.
연구진
은 합성수지(PDMS)를 생체막으로 이용했다. 한쪽에는 인체에서 추출한 폐세포를 배양하고 다른 쪽에는 모세혈관 세포를 배양했다. 허파꽈리 조직과 똑같다. 세포가 자란 후 배양액을 제거하면 칩에서 자란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상어, 개 등이 대상이다. DARPA 외에는 시도조차 어려웠던 동물 조종 기술에 최근 국내
연구진
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신경이나 뇌를 자극하는 대신 새로운 방식으로 생물체를 원격 유도하는 기술이다. 이 연구를 하고 있는 이필승 카이스트 해양시스템공학전공 교수는 “생명체를 닮은 로봇을 만드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