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니
indonesia
인도네시아공화국
d라이브러리
"
인도네시아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제성 실용성 뛰어난 압축천연가스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01
현재 약 27만대의 천연가스차량이 운행중이다. 이밖에도 캐나다 중국 호주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등에서 60여만대의 가솔린 천연가스 겸용차량이 운행중에 있다. 특히 뉴질랜드에서는 1979년에 정부가 총 주행차량의 10%에 해당하는 자동차를 압축천연가스자동차로 개조한다는 계획을 ... ...
1만5천년 된 두개골로 조상 밝힌다
과학동아
l
199110
알란 톤 박사의 말이다.그간 일군의 과학자들은 호주인의 조상이 4, 5만년전
인도네시아
로부터 이주해온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톤박사를 포함한 또다른 입장의 학자들은 동남아시아 뿐 아니라 중국 등 동북아시아로부터도 이주해 왔으며 그것도 한번에 끝난 것이 아니라 꽤 오랫 동안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10
규모와 세기가 큰 엘니뇨로 기록되고 있다. 그 강력하고 광범위한 엘니뇨현상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호주, 남부 아프리카 등지의 밀 호밀 보리 등 농작물 생산량이 그 전해에 비해 50%나 감소했다. 또 에콰도르와 페루에서는 연간 강수량의 최고치를 갱신했고, 어획량이 81년에 비해 역시 절반으로 줄어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09
대량으로 대기중에 배출됐기 때문에 기온이 올라간다고 보고 있다. 특히 1883년에 분출한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 화산의 대폭발은 온 섬이 날아갈 정도로 대규모였다고 하는데, 그때 분출한 수증기 이산화탄소의 총량은 헤아릴수 없이 막대했다. 이 가스들은 고위도지방에서 강한 온실효과를 ... ...
화산
과학동아
l
199109
멕시코나 중미지역에도 화산들이 존재한다.현대의 가장 어마어마한 화산폭발은 1815년
인도네시아
의 탐보로 화산에서 있었다. 폭발이 봉우리 부분을 완벽하게 날려버려 엄청난 양의 화산재가 대기 성층권으로 보아 올려졌고 거기서 다시 가라앉을 때까지 수년간을 머물렀다. 그 당시 무척이나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07
전체에, 2년 정도 체류하게 되면 전지구에 먼지막이 덮일 것으로 생각된다. 실례로 1963년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아궁(Agung) 화산(남위 8.5°, 동경 115.5°)의 폭발이 있은 후 2년 이상에 걸쳐 남극이나 북반구 고위도 지점에서 화산성 에어로졸이 관측됐다.태양복사에너지가 감소되고 화산분출에 의해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07
의 일부인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지역도 화산발생이 빈번한 곳. 이 중 1883년에 분출한
인도네시아
의 크라카토 화산은 TNT 1백 메가톤에 해당하는 무서운 파괴력을 보였는데, 이 폭발이 만든 화사냊가 지구로 오는 태양복사에너지를 차단해 수년간 전지구적인 이상기온 현상이 발생했다.1902년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많다.다음의 예는 하와이섬의 다양한 동식물들에 대한 적절한 해답이 될 것이다. 1883년
인도네시아
자바와 수마트라섬 사이의 순다해협에 있는 크라카토아섬은 엄청난 화산폭발로 파멸돼 대부분의 생명체가 살아 남지 못했다. 그러나 1908년의 조사에 따르면 이 섬에서 다양한 식물들이 다시 ... ...
3. 재평가돼야 할 가로림만 입지조건
과학동아
l
199105
있다. 영국은 루이스(Lowis)섬 근해 수심 21m해역에 5천 ㎾급 발전소를 운영중이며,
인도네시아
는 발리섬에 1천㎾급의 발전소를 건설했다.국내 동해안의 경우에는 해안선 1㎞당 연간 부족 파력에너지는 약 44GWh다. 파력발전은 조력발전에 비해 규모가 작고 발전량도 기상 조건에 따라 크게 변하므로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04
Network)을 수립하고 초정밀 지진관측망을 구축중에 있다. 즉 알류샨 열도로부터 필리핀
인도네시아
서태평양 해저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약 1천5백㎞의 간격으로 50여군데의 초정밀 지진관측점을 설치한다는 방대한 계획이다.이미 일본에 3개의 관측점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금년 3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