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러
종류
여러가지
d라이브러리
"
각종
"(으)로 총 3,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로 달리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수소 생산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하거나 석유와 천연가스 등
각종
화석연료를 산화할 때 생성된다. 소 등 가축에서 나오는 메탄 같은 탄화가스에서도 얻을 수 있다. 정 실장은 “현재는 천연가스나 석유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한다”며 “이 때문에 청정연료로 불리는 수소도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 보통난이도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⑦ 나로우주센터 건축 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던 2005년 여름은 별다른 태풍 피해 없이 순탄하게 지나간 고마운 여름이었다. ... : 발사대의 맨 아랫부분. 발사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발사체에 추진제와
각종
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하고 있습니다. 현대 물리학의 두 기둥인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중심엔 ‘리군’과
각종
‘행렬군’이 있습니다. 화학에서도 ‘공간군’을 통해 분자의 대칭 구조를 분석하고 예측합니다. 대칭적인 평면의 벽지 무늬를 분석한 ‘벽지군’은 예술과의 접점도 있고요. 이런 군론의 토대는 젊은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해요. 생물의 사체가 먹이인 독수리는 머리 깃털이 길면 먹이를 먹다 사체에 있던
각종
균이 묻을 수 있어, 머리 부분엔 짧은 깃털이 나도록 진화했다고 전해져요. 털이 짧을 뿐 대머리는 아닌 셈이지요.독수리라는 단어에도 대머리를 뜻하는 한자 ‘禿(독)’이 포함되어 있어요. 또 영어로 독수리를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지원받았다.시중에 파는 교구를 만드는 걸 넘어서 새로운 교구를 창작하게 되면서
각종
대회에도 참가하고 교육 봉사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2018년 대전 수학 체험전에서는 집에 가서도 수학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모빌을 만들 수 있는 키트를 대략 400개 만들어 도안과 함께 참가자에게 선물했고,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부산 지역 관청 소속의 기생이었기 때문에, 장영실도 노비로 자랐다. 어릴 때부터
각종
농기구를 고치는데 두각을 나타냈던 장영실은 한양으로 가게 된다. 세종대왕의 아버지이자 조선의 3대 왕인 태종이 신분에 상관없이 나라에 도움이 될 인재를 추천하는 ‘도천법(道薦法)’을 실시한 덕분이었다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음식 포장에 많이 쓰는 페트(PET)도 열에 노출되면 중금속인 안티몬을 배출한다. 이외에도
각종
유해물질 첨가제가 들어간 플라스틱이 얼마나 안전한지는 미지수다. 저자는 플라스틱의 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한다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시작된다. 구글은 근무시간이 제각각이라 11시쯤 돼야 모든 팀원이 출근한다. 이때부터
각종
회의가 시작된다. 대략 오후 4시부터는 팀원들이 퇴근하기 시작한다. 그러니 그 전에 최대한 많은 일을 하고 질문을 해야 한다. 업무가 끝나면 보통 회사 사람들과 함께 저녁을 먹거나 보드게임을 하며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점이 현재의 태블릿을 연상시킨다. 현실1950년대부터
각종
SF에 태블릿이 등장했는데, 가장 임팩트가 강했던 작품은 1968년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다. 제4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시각효과상을 수상했으며, 1968년 미국에서 흥행 1위를 ... ...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살펴본 기후 모형은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이라는 미분 방정식으로 연구하는 것이고,
각종
기후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 연구하기도 하지. 한국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는 극지방에서 해빙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연구하고 있어. 일명 ‘극지 빙상동역학 모형’으로 바다에서 해빙의 움직임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