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임"(으)로 총 2,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숨바꼭질 게임 1. 게임 진행 정보를 한눈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파워점프 발판, 스피드업 발판을 제작해 봅시다. ※ 편집자 주컴퓨터 게임부터 보드게임, 방 탈출 등 노는 것을 좋아하는 김미래 기자가 로블록스 코딩에 도전 합니다! 1년 동안 로블록스 코딩을 배우며 함께 폴리매스 방 탈출을 만들어 봅시다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해하고 전략을 세워서 게임해요. 그러면 전 정말 한 판도 못 이겨요. 운에 의존하는 게임 말고는요. 그만큼 전 수학자 치고 배우는 게 느리고 두뇌 회전이 빠르지 않아서 모든 연구가 쉽지 않아요. 어떤 내용을 들으면 소화하는 데 오래 걸리는 편이에요. 그래서 동료들에게 같은 질문을 여러 번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게임으로 슬기롭게 공부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함께 내가 평소에 자주 하는 게임을 해 보고 게임을 주제로 대화를 해 보세요. 어떤 게임을 하고, 대화를 나누었나요? 느낀 점은 무엇인지도 알려 주세요.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 [이달의 책] “세상에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기업 ‘아이네트’를, 김정주 대표는 게임회사 ‘넥슨’을 설립했다. 송재경 개발자는 게임 ‘리니지’를 개발했다.이들의 스승인 전 교수 또한 새로운 일을 해낸 장본인이었다. KAIST에 부임 몇 달 전, 경북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 연구소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이다. 이로써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눈 블록 위에서 살아남아라! 스플리프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게임에서 탈락해요. 1층 눈 바닥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 블록의 효과를 활용해서 게임을 유리하게 이끌어 보세요. 잠깐! 눈 블록이 너무 빨리 사라져요.빠르게 눈을 없애며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면 눈 블록이 금세 사라져요. 이때는 다음과 같이 눈 블록을 부술 때마다 새로운 눈 블록을 놓는 ... ...
- [놀이북] 지구를 지켜라! 분류부터 새활용까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수많은 해양 생물 친구들이 반겨주네요!바사와 닷속 친구들과 함께 팀을 이뤄 게임을 하기로 했어요. 리사와 이클은 팀장을 맡기로 했지요. 팀장을 제외하고, 한 팀을 이루는 팀원들끼리는 한 가지 이상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 나만의 분류 기준을 세워 리사 팀과 이클 팀을 각각 ... ...
- [에디터 노트] 독자들과 코인을 캐는 상상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분석기업 OP.GG 등 데이터 분석자들을 직접 만날 기회를 드리려고 합니다. 취미코딩은 게임뿐 아니라 음악, 스포츠 등 다른 분야로도 확장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코딩 능력은 IT업계에서만 쓰이지 않습니다. 이제는 영어처럼 거의 모든 분야에서 코딩이 쓰이고 있습니다. 세상을 ... ...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얻기 위해서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암호화폐로 캐릭터와 아이템을 교환하기 위해 게임을 한다. 복제가 가능하고, 원본과 복제본 사이에 아무런 질적 차이가 없는 디지털 아트에 ‘원본성’을 부여해 미술경매 시장에서 비싸게 거래되도록 만든다. 메타버스의 아바타를 제작하거나 아바타가 입는 ... ...
- 호기심의 끝은 파멸... 청소년 마약중독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알려진 도파민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해 어마어마한 쾌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게임에서 승리했을 때 쾌감보다 30배 이상이라고 한다. 하지만 시간제한이 있다. 같은 양을 복용해도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시간이 짧아진다.내성이 생기기 시작하면 이미 중독에서 헤어나올 수 없는 단계다. 실제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나오면 꼼꼼히 살피는 편이라고 했다. 과학 콘텐츠로 부자되는 선례 남기고 싶다 “게임 기획자, 음악 작곡가처럼 과학 콘텐츠로도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어요.”과학드림은 뼛속까지 이과생이다. 단국대 과학교육과를 졸업한 뒤 과학기사를 쓰며 10여 년을 보냈다. 그는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