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피할 수 없다면 띄워라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해수면 상승을 피할 수 없다면 아예 도시를 바다 위에 띄워보는 건 어떨까. 해상 도시 ‘오셔닉스 부산’은 유엔 해비타트와 개발기업 오셔닉스, 부산시가 공동 추진하는 해상 도시 시범모델이다. 부산시는 2022년 4월 디자인을 공개하면서 2027년 착공, 2030년 완공 계획을 밝혔다. ...
- [화보] 미션! 예술 작품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두 주황색 원 사이에 노란색 원과 초록색 원이 하나씩 있으니까요. 정답 : 5 미국의 ‘공동 수학(Public Math) 연구소’는 SNS를 통해 육각형 만들기 챌린지를 진행했어요. 어린이들이 노란색, 주황색, 자주색, 파란색, 남색의 서로 다른 모양의 도형을 직접 조합해 하나의 육각형을 만들어 인증하는 ...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그 결과 자폐인들의 비암호화 영역에 공통된 변이가 있다는 것을 찾았다.이번 연구의 공동 제 1 저자인 김일빈 교수는 “지금까지는 유전체 서열을 전부 읽어내는 것이 오래 걸리고 비싸서 자폐와 관련된 비암호화 영역 연구가 별로 없었다”며 “유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더 밝혀내야 할 ... ...
-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와 수다 떨자! 동대문 수학 클럽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수학 분야의 이론을 적용해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대화가 문제를 푸는 실마리가 되고 공동연구 하는 계기가 된다네요. 김 교수님은 학생들과 대화하는 것을 즐기는데요. 학생들의 질문은 종종 교수님이 전혀 예상하지 못한 내용일 때가 많대요. 교수님에게 새로운 생각의 접근 방식을 알려주기 ... ...
-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과학동아 l2022년 09호
- RIKEN), 한국 기초과학연구원(IBS) 희귀 핵 연구단 등 국내외 25개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팀이 4개의 중성자만으로 만들어진 핵(테트라 중성자)을 관측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테트라 중성자 연구에는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RIBF (Rare Isotope Beam Factory) 중이온 가속기가 사용됐다. 첫 번째 목표는 ... ...
- [수학 뉴스] 순식간에 대학교 수학 문제 푸는 AI 나왔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미국 매사추세스공과대학교(MIT), 하버드대학교, 워털루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수학을 전공한 대학생이 푸는 수준의 수학 문제를 몇 초 만에 해결하는 AI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8월 2일자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먼저 AI에게 프로그래밍 언어와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1화. 우리 학교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포터는 그 중 그리핀도르라는 기숙사 소속이에요. 그리핀도르에는 그곳만의 규칙과 공동체가 있고, 담당 교수들도 있습니다. 옥스퍼드대 칼리지도 그런 개념입니다. 모든 학생은 옥스퍼드대 소속임과 동시에, 옥스퍼드를 구성하는 39개의 칼리지 중 하나의 구성원으로 소속돼 있습니다. 단순히 ...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있었다.제임스웹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이 공동개발한 우주망원경이다. 우주망원경은 우주에서 천체관측을 하는 인공위성을 가리키는데, 제임스웹은 그중에서도 가장 거대하고 성능이 뛰어나다. 제임스웹은 지름 6.5m 주경으로 기존 망원경이 볼 수 없던 심우주 ... ...
- [과학뉴스] 지도교수 몰래 표절했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논문이 표절로 확인됐다. CVPR은 국제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와 컴퓨터비전협회(CVF)가 공동 주최하는 학술대회로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를 인정받는다.문제가 된 논문은 움직이는 물체나 빛처럼 불규칙한 정보를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썼던 논문이다. 표절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매년 시상식이 열리는 노벨상과 달리 필즈상은 4년에 한 번씩 수여할 뿐만 아니라 공동 수상자의 인원도 최대 4명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특히나 수상자 나이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만 40세가 넘으면 아무리 뛰어난 수학자라도 필즈상을 받을 수 없다. 나이 제한은 국제적 수학상이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