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
거미줄
네트
그물 세공
뜰채
그물세공
거밋줄
d라이브러리
"
그물
"(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초속 100~200m의 빠른 속도로 피부를 뚫고 원하는 위치에 주입된다.통증은 피부 아래
그물
처럼 촘촘히 깔린 신경망으로 느낀다. 이번에 개발한 주사기는 피부 밑 원하는 위치까지 약물을 주사할 수 있다. 신경망 직전까지 약물을 넣으면 통증이 없다. 신경망 너머까지 약물을 전달한다 해도 노즐의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몸을 감추고, 도망치고 때로는 맛없게 보이려고 안간힘을 쏟고, 독을 품고 공격하거나
그물
을 치고 집을 만드는 생존 전략은 자연선택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생물 간의 적절한 긴장 관계 속에서 다른 많은 생물들의 먹잇감이 되는 것 또한 애벌레의 주요한 생태적 기능이다. 언제나 벼랑에 서서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적이 있다.멸종위기 바다의 왕자들남획 역시 바다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대형어류 떼를
그물
로 잡아들이는 선단어법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의 어류를 잡기 때문이다. 의도하지 않게 다른 바다 생물을 잡는다는 점도 문제다. 이 중에는 푸른바다거북처럼 멸종위기종이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길게 빼 심한 악취로 적을 물러나게 하는 남방제비나비 애벌레.] 꼼꼼하고 단단하게 짠
그물
을 설치해 놓고 인내심 있게 기다리는 거미는 무서운 존재다. 한걸음 한걸음 접근하면서 바스락거리는 소리조차 내지 않고 무려 한 시간씩이나 뒤를 밟는 노린재에게 위장이나 변신은 무용지물이다. 바위와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에너지 효율이 높은 D형, H-모드를 달성했다.]토카막에서 자기장은 플라스마를 가두는
그물
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온도를 높일수록 플라스마 입자들의 움직임이 격렬해지는데, 입자들 사이의 반발력이 줄면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이 움직임을 제대로 제어하지 않으면 ... ...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공이 빨려 들어간다.*림 농구공이 통과하면 득점이 인정되는 둥근 테두리.*바스켓 림과
그물
.*백보드 가로가 1m 80cm이고 세로가 1m 5cm인 투명판으로 림보다 15cm 뒤에 있다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안강망을 설치해 둔 모습이다. 조류의 흐름에 따라 물고기가 움직이다가 여기에 걸린다.
그물
에 앉은 갈매기는 물고기가 걸리기를 기다리는 걸까.] [❹ 우도에서 바라본 해안의 모습이다. 사격 연습용 표적과 철책이 눈에 띈다. 철책 너머로 보이는 섬은 천연기념물 제205호인 저어새의 산란지로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농약은 해충만 죽이는 것이 아니라 땅에 이로운 생물들도 죽인다. 농약에 토양의 먹이
그물
이 무너지는 셈이다. 이로운 생물들은 비타민이나 항생물질(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등) 같은 병원체 억제물질을 만들어 흙을 비옥하게 가꿀 뿐 아니라 식물을 건강하게 지켜준다. 이로운 생물이 많으면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모두 새것으로 교체한다. 만약 와이어가 끊기는 사고가 발생하면 ‘바리케이드’라는 큰
그물
망을 세워 비행기가 튀어나가는 것을 막는다.비행기를 항공모함에 내리는 ‘착함’은 조종사에겐 가장 까다롭고 위험한 순간이다. 항공모함은 아무리 규모가 커도 바다 위에 떠 있는 배다. 파도에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넓혀야 할 부위까지 옮긴 다음, 다시 원래 크기로 늘리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스텐트는
그물
을 이루는 사각형이 찌그러지면서 접힌다.변신 로봇의 시작은 스스로 접히는 종이종이 자체를 새롭게 개발해 접기에 활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2009년 7월 인하대 기계공학과 김재환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