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슬라임으로 로봇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달하는 등의 치료와 회복을 도울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했지요. 멍멍 썬 연구원은 “기존에 몸속에 넣던 로봇은 실리콘 등의 물질을 활용했는데, 유연성이 부족했고 액체 등의 흐르는 물질은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며 “이번에 개발한 슬라임 자석 로봇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 ...
-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밝힌 것처럼 대부분 이 영점이 없다고 보고 있지만, 이 문제를 증명하기 워낙 어려워 기존에 이렇다 할 연구 결과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장 교수의 이번 결과가 맞는다면 이것만으로도 큰 성과라 평가받고 있다. 이유 ❷ 이탕 장이니까 장 교수가 좋은 결과를 냈을 거라는 기대도 있다. 최영주 ... ...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DART 팀의 일원인 웬디 칼드웰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연구원은 대학원에서 응용수학을 전공하면서 소행성 연구를 시작했다고 해요. ... 8주가 지난 11월 말 웬디 연구원은 우주 망원경으로부터 디모르포스의 데이터를 받아 기존에 예측했던 모형이 얼마나 정확한지 검증하고 있어요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레이저 통신이 더욱 활발히 이용될 전망이다. 레이저 통신은 전파(3KHz ~300GHz)를 이용하는 기존 통신보다 많은 신호와 정보를 동시에 보낼 수 있다. 여기에는 테라(T)Hz 이상의 주파수가 쓰이며 통신 보안이나 대역폭에서의 장점이 매우 크다. 테라는 조 단위인데, 이제는 슬슬 전파가 아니라 적외선이라 ... ...
- [수학뉴스] 데이터 폭증! 단위 표현 4개 추가됐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접두어가 추가된 이유는 세계적으로 빅데이터가 중요해지며 데이터 양이 폭증해, 기존 단위로는 표현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지구의 질량은 6Rg(론나그램)으로, 목성의 질량은 1.9Qg(퀘타그램)으로, 전자의 질량은 1rg(론토그램) 등으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원하는 색의 빛을 만들려면 특정한 파장의 빛만 뿜어내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기존 물질로는 특정한 파장만 만들기 어렵습니다. 빨간 빛을 만들었는데 빨강과 함께 진한 빨강, 주황 등이 섞여서 나오는 상황이죠. 반면 퀀텀닷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 파장은 매우 좁습니다. 근처 파장 빛이 섞이지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100% 유지하면서 광음향 영상도 추가로 찍을 수 있는 장비가 개발돼야 합니다. 그래야 기존의 초음파 영상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 광음향 영상촬영을 임상에 적용하는 일이 가속화될 테니까요. 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광음향 탐침과 저가형 소형 레이저 발진장치 등 부품도 지금보다 더 작아져야 할 ... ...
- [만화 뉴스] 퀘타, 론나, 퀙토, 론토…, 새로운 단위 표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론나’, ‘론토’, ‘퀙토’ 접두어 4개를 추가했어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접두어로는 수를 표현하기 번거로운 상황이 생겼기 때문이지요. 접두어란 1000m를 1km로 쓸 때 사용하는 k(킬로), 1000분의 1m를 1mm로 쓸 때 사용하는 m(밀리) 등 수를 표현할 때 쓰죠. 이번에 추가된 퀘타와 론나는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그것을 알게 되면 조금 흥미가 떨어져서 새로운 퍼즐을 풀었어요. 수학 문제를 풀 때도 기존 공식을 활용해서 푸는 문제보다는 제가 모르는 개념을 이용해서 푸는 문제를 좋아해요. 그 문제를 풀면서 새로운 개념을 공부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Q. 수학을 잘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조언해 주세요 ... ...
-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올랐을 때 구부러졌다가, 몸체가 수축하면 다시 반대로 구부러지도록 만들어졌다. 기존의 소프트로봇은 날개에 무거운 모터를 부착해 구동했지만 나비봇은 몸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로봇 전체 무게를 크게 줄였다. 이로써 이전에 추진체 없이 가장 빠르게 수영한 로봇의 속도(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