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지"(으)로 총 1,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지를 짓는다면 아마도 초기에는 남극 기지와 같은 과학기지 형태가 될 것이다. 화성기지에서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연구는 화성의 생명체 연구다. 화성 토양에서 광물을 채취해 원소를 분석하고 유기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2015년 3월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질소를 발견해 생명체가 살았을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맵을 살펴야 하고, 기지를 찾은 뒤에는 혹시 상대가 무엇을 숨기지 않았을까 구석구석 살펴봐야 한다. 정찰병을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정찰과정에서 얻은 불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 뛰어난 프로게이머들은 이런 불확실성을 이용해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어렵다. 괌에 설치된 사드 레이더는 바다를 향해 있지만, 후보지로 꼽히는 평택 기지 등에서는 레이더가 주민들의 머리 바로 위로 지나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각도 5°) 완전한 안전 거리인 5.5km에서 안전 고도는 483m에 불과하다. 사드 배치 후보지와 주거지 ... ...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개발에 성공했어요. 한국시간으로 2015년 12월 22일 오전, 미국 플로리다 주에 위치한 공군기지에서 ‘팰컨9’ 로켓을 발사했는데, 이 로켓에는 소형 위성 11개가 실려 있었지요. 9분 45초 후, 추진체 역할을 하는 부분인 ‘1단 추진 로켓’이 다시 지상으로 무사히 착륙했어요. 소형 위성 11개는 모두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시작했다. 드론들은 카메라를 연신 움직이며 촬영하기에 바빴고, 등대의 전자기 변화는 기지를 경유해서 전 인류에게 전달되었다.추후에 변동 사항을 고지하기 전까지는, 만약 등대를 세운 외계인과 만날 경우 반드시 옛 육체를 이용할 것.계약서의 중심 조항을 만든 이들이 정말로 무슨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무선 통화기기를 갖고 있어요. 전파 형태의 음성 신호를 공기 중으로 보내면 근처의 기지국과 이동전화교환국을 거쳐 상대방의 휴대 전화로 전달되는 원리지요.그런데 최근에는 시계나 안경과 같은 액세서리로 전화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도 개발되고 있어요. 다양한 스마트 ... ...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자전거 페달을 돌리자 비행기가 슝~하고 날아올랐지.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비행기지만, 조종에 따라 화면이 움직여서 정말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날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단다. 미래에는 보고 듣는 것뿐만 아니라 향기와 맛, 촉감까지 느낄 수 있는 가상현실이 개발될 거라고 해. 정말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몰라요. 그 정체는 인터넷 기업인 ‘구글’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룬’의 인터넷 기지인 ‘룬(풍선)’이랍니다.프로젝트 룬은 2013년 초에 시작됐어요. 아퀼라와 마찬가지로, 무선 인터넷 공유기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기를 공중에 띄워 통신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지나 개발도상국 주민들에게 ...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영하 3.7℃ 정도, 바람은 5.8㎧ 정도 불고 있습니다. 상상했던 것보단 춥지 않죠? 세종과학기지가 남극 반도의 끝자락에 있어서 해양성기후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바람 세기에 따라 체감온도는 더 낮을 수 있죠. 얼마 전 눈보라가 치던 날은 기온이 영하 12℃ 정도였지만, 바람이 불어서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말했다.➊ 자동기록기를 부착한 젠투펭귄. 털에 붙인 것이라 몸에 아무런 상처를 남기지 않는다. 젠투펭귄이 물속에서 다른 펭귄(➋,➌)과 먹이인 크릴(➍)을 촬영한 모습(➋~➍번은 2008년 일본 국립 극지연구소 아키노리 다카하시 박사팀 연구 논문에서 발췌). 동물 의사소통 엿보고, 오지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