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1,277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때문에 속수무책이랍니다. 곤충이나 양서류처럼 작은 동물들의 서식지가 통째로 불에 타
멸종
위기에 처하기도 하고요. Q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인간이 할 수 있는 건 무엇일까요?안타깝게도 없어요. 산불 피해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사람의 손으로 이를 복구하기란 불가능하죠. 가장 중요한 건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이들 화석은 해부학적으로 현대인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미
멸종
된 다른 유전자 혈통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현재 살아 있는 인류 중 가장 오래된 L0 그룹을 탄생시킨 미토콘드리아 이브가 칼라하리 지역에서 발생했음을 확인한 ... ...
[그래픽뉴스]
멸종
위기에 처한 호주 동물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있다. 실제로 약 4억5000만 년 전 해양 생물의 60~85%가
멸종
한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
멸종
의 원인이 초근지구 초신성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베텔게우스가 폭발하면 지구에 4년간 낮이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도 무리가 있다. 폭발 시 태양의 1억~10억 배에 달하는 엄청나게 밝은 빛을 내는 것은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코로나19 확진자에게서 얻은 바이러스의 염기서열과 99% 일치한다고 밝혔다. 천산갑은
멸종
위기종이지만 중국에서는 보양에 좋다는 이유로 밀거래가 이뤄지는 동물 중 하나다.코로나바이러스가 다양한 동물을 숙주로 삼을 수 있는 이유는 스파이크 단백질 덕분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자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분화한 순서대로 그려나갔다. 새로 등장한 종은 나뭇가지가 새로 돋아난 것으로 그렸고,
멸종
한 종은 그 자리에서 가지가 끊어진 것으로 그려졌다. 다윈이 그린 생명의 나무는 생명의 역사와 시간에 따른 진화, 그리고 원시로부터의 분화와 적응을 한 번에 표현한 최고의 그래픽이었다. 적어도 2 ... ...
얼음이 녹으며 별별 일이 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사진 기자) 영구동토가 녹아내리면서 매머드의 뼈나 상아 등이 속속 발견됐어요.
멸종
동물의 흔적은 비싼 값에 팔려 ‘하얀 금’이라고도 불렸지요. 이런 상아 사냥꾼들을 만나 그들의 사냥을 취재한 사람이 있어요. 바로 자유유럽방송 아모스 카펠 사진 기자죠. 전화 인터뷰로 그의 이야기를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수록돼 있습니다. 배경은 인류가 사라진 뒤의 지구입니다. 인류는 모종의 이유로
멸종
했지만, 지구에는 강력한 인공지능 로봇들이 남아있습니다. 프로스트는 그중 하나죠. 이들의 임무는 지구를 재건하고 보존하는 것입니다. 프로스트는 솔컴이라는 상위 인공지능의 부하로 만들어졌을 때의 사고 ... ...
[핫이슈]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2000마리가 넘는 반달가슴곰이 살았어. 그런데 전쟁, 밀렵 등으로 현재는 거의
멸종
했지. 그러자 지리산 생태계에 문제가 생겼어. 반달가슴곰은 나무의 싹이나 뿌리, 열매를 먹고 배설물로 식물의 씨를 널리 퍼뜨려. 숲이 적당한 밀도로 자라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 거지. 그런데 나무를 먹던 곰이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함께 흰머리수리의 개체수를 밝힌다!흰머리수리는 20세기 들어 살충제(DDT)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했지만, 보존 활동으로 지금은 개체수가 회복됐어요. 연구자들은 시민들과 함께 흰머리수리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있답니다. 2015년 미국 웨스트버지니아대학교 앤드류 덴하르트 연구원은 시민들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