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도"(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목성 & 토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토성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 중 가장 멀리 있다. 내부는 철과 니켈로 된 초고밀도 핵이 액체수소 층에 둘러싸인 구조다. 대기에는 초속 500m에 이르는 엄청난 속도의 바람이 불며, 이로 인해 소용돌이와 폭풍이 생겨 끊임없이 변한다. 구름층이 두꺼워 표면 온도가 섭씨 영하 176도로 낮다 ... ...
- 신비┃우리는 우주의 유일한 것인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이론부터 살펴보자.인플레이션 이론은 급팽창 이론이라고도 부르는데, 우주가 밀도가 무한한 한 공간에서 시작됐으며, 초창기에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하는 시기가 있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에서는 우주가 척력을 발생시키는 인플라톤(Inflaton) 입자의 장(Field)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본다. 우주가 ... ...
- 질서┃우주의 현재···우리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위해서는 초고온, 초고밀도의 환경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주가 팽창하면서 물질의 밀도와 온도는 오히려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었다. 그런 우주에서 최초의 별, 즉 1세대 별들은 뜨거운 중심(108K)에서 핵융합을 통해 더 무거운 원소들을 만들어 냈다. 별의 중심에서 수소는 융합돼 헬륨 원자핵이 됐고,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경우 M~H2인데, 사람의 질량(M)은 부피(V)에 비례하니(이때의 비례상수가 바로 사람 몸의 밀도다), V~H2임을 알 수 있다. 이제, 두 식 V~R2H와 V~H2으로부터 R2H~H2이므로 R~H1/2을 얻는다. 사람의 몸을 원기둥으로 어림하면 사람의 허리둘레도 R에 비례하므로, ‘사람의 허리둘레는 키의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 ...
- 맨틀과 외핵, 둘 다 흐르는데 왜 안 섞이지?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산화물 실험을 진행했다.그 결과 이 두 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밀도가 낮은 철-실리콘 산화물이 위쪽으로 이동해 액체 층을 형성했다.리 교수는 “이번 연구로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초기 지구 상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73 ... ...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자기장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전자파 대역별로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구한 뒤 이를 합산해 최종적으로 자기장을 계산한다. 최 연구사는 “요즘에는 여러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자동으로 합산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고 있어 한 번에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실전! 반려동물] 금붕어가 삐딱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부레로 상하운동을 해요. 금붕어는 부레 속의 공기를 빼내거나 채우는 방법으로 몸체의 밀도를 조절해 물속 깊이 내려가거나 위로 올라가지요. 또 금붕어는 부레 덕분에 물속에서 좌우 균형을 맞춰 바른 자세를 유지한답니다. 따라서 부레에 문제가 생기면 금붕어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물속을 ...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2년쯤 되는 셈이다. 짧은 시간 최대 성능을 내기 위해 재료를 촘촘히 채워 넣어 에너지 밀도를 최대로 높인 탓에 전기차용 배터리(약 10년)보다 수명이 짧다.항간에는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해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충전해야 하고, 추운 날에는 전력이 남아 있어도 전원이 꺼질 수 있다는 얘기가 ...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4.7배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밀도는 토성보다도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토성은 태양계에서 밀도가 가장 작은 행성이다.오로스 교수는 “두 행성을 발견했을 때에도 제3의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며 “하지만 당시에는 천체면을 통과할 때 신호가 약해 확신하지 못하고 계속 추적 관측을 해온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수소는 인간이 더 높은 곳을 정복하는 데도 공을 세웠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수소 기체의 밀도는 약 0.090g/L로 공기의 밀도(1.225g/L)에 비해 극도로 낮다. 이 때문에 수소는 지구 중력을 쉽게 이겨낼 수 있다. 사람들은 이런 가벼운 성질을 이용해 비행선을 하늘로 띄우는 충전재로 수소를 활용했다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