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파란 눈을 한 여름 손님 긴꼬리딱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언저리와 부리가 파랗고 정수리에 작은 댕기가 있는 게 특징이에요. 5월이면 한국을 찾아
번식
을 하고 떠나는 여름철새지요. 알 3~5개를 낳아 약 2주 동안 품은 뒤 새끼가 태어나면 8~12일 동안 돌보아요. 그러다 8월이 되면 동남아시아 쪽으로 가서 겨울을 보낸답니다. 긴꼬리딱새는 원래 일본식 ... ...
Part 4. 한반도 산은 지금 탈모 진행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타고 옮겨 다녀요. 그런데 이 하늘소는 온도가 높을수록 활동범위가 늘어나고,
번식
도 빨라진답니다. 따뜻해진 기후로 하늘소들이 넓게 퍼지면 소나무재선충도 덩달아 넓게 퍼지는 거죠. 더군다나 기후변화로 소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력이 약해지면 감염될 확률이 더 높아진답니다 ... ...
[과학뉴스] 무더위 때문에…
번식
력 떨어진 수컷 곤충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게이지 교수는 “고온으로 인해 정자의 수뿐만 아니라 활동성까지 떨어졌다”며 “
번식
에 성공해도 자손의 수명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467-018-07273 ... ...
[가상인터뷰] 곰팡이를 재배해 먹는 개미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쓰는 신선한 잎에 비밀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어요. 신선한 잎을 사용하면 곰팡이의
번식
을 위협하는 해충이나 다른 곰팡이가 없어서 곰팡이를 더 잘 키울 수 있어요. 그래서 가위개미들이 더 번성할 수 있었다는 거지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라이스대학교 스콧 솔로몬 교수는 “가위개미가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국내 수요의 50%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재까지는 연구용 영장류를
번식
시키는 것과 관련한 국내 기준법이 없어 멸종위기종을 관리하는 환경부와 함께 법적 절차를 확립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국내외 연구기관과 연구 협력도 늘릴 예정이다. 실제로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인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계열의 빛을 흡수하는 비율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북극 온난화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
을 왕성하게 하고, 햇빛의 흡수 비율을 높여 해빙이 녹는 현상을 가속화시킵니다. 우리 연구팀은 결국 해빙이 감소하면서 추가적인 해빙-알베도 피드백 효과가 나타나 북극 온난화를 증폭시키는 원인인 ...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봐야 하지요. 그래야 알이나 새끼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이런 방법으로 제비가
번식
하는 지역을 알아내는 것이 탐사의 목적이랍니다. 지사탐 대장인 장이권 교수님은 “지사탐 대원들이 업로드하는 자료는 과학자들의 논문과 수원청개구리 보호 사업 등에 활용되는 소중한 정보”라며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좀비 영화나 드라마에서 좀비의 감염 매개체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 우리 몸에서
번식
할 수 있는 생명체인 경우가 많았다. 야귀의 특성만 놓고 보면 야귀를 매개하는 병원체는 상처를 통해 감염되며 단시간 내에 사람을 죽일 수 있을 만큼 잠복기가 매우 짧아야 한다. 또 감염됐을 때 감염자는 강한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22일자에 흥미로운 논문 한 편이 실렸다. 그간 존재 가능성만 알려져 있던 초기 인류 사이의 이종교배를 입증할 수 있는 화석이 발견된 것이다. ... 또한 개과인 늑대와 개 사이에서 탄생한 잡종으로 이종교배로 탄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번식
할 수 있다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길어지는 봄에 주로 산란하며, 송어나 노루는 일조시간이 짧아지는 가을에 주로
번식
한다.식물은 일조시간에 따라 개화 여부가 달라지는데, 단일식물은 빛이 없는 기간이 일정 시간(한계암기) 이상 지속될 때 개화하고, 장일식물은 빛이 없는 기간이 일정 시간 이하일 때 개화한다. 지속적인 암기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