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색채
색
색깔
색상
빛
색조
희망
d라이브러리
"
빛깔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와 태양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위에서 자신을 잡으려는 육식조류나 일간에게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그리고 밝은
빛깔
의 아래쪽은 밝은 수면을 향하여 아래에서 먹이를 찾고 있는 물 속의 육식동물에게도 잘 보이지 않는다.그렇다 하더라도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많은 나라에서 피부가 밝은 색일수록 사회적 지위가 더 높음을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엷은 토층으로서 부식이 풍부하며, 회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적갈색에 이르기까지 그
빛깔
이 다양하다. ${A}_{1}$층 밑의 ${A}_{2}$층은 콜로이드와 염기가 심하게 용탈된 층으로, 산화철과 부식콜로이드와 같은 착색물질이 제거되고 규산(${SiO}_{2}$)성분만 남아 있어서 표백을 한 것 같은 회백색을 띤다. $ ... ...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꼽힌다.그러나 '반지 전쟁'은 엄격하게 말하면 공상 소설(fantasy)이고 '듄'도 공상 소설의
빛깔
을 짙게 띠었다. 과학 소설과 공상 소설을 깔끔하게 나누는 기준은 없고 그 둘을 엄격하게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지도 않지만, 일반적으로 얘기하면, 소설의 배경에 등장하는 중요한 특질들이 현재 정설로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고려사람들은 비취색이라 하는데 근년에 이르러 그 제작기법이 더욱 정교하고 그
빛깔
이 더욱 아름다워졌다"며 도자기 기술에 관해 '세계 최고'를 자부하던 중국인의 솔직한 고백을 쓰고 있다.최근 들어 우리 조상의 얼이 담긴 청자의 비취색을 재현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엄밀한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것 자체가 미친 생각이다"라고 공박한다.태양계의 네번째 행성인 화성은 그 특유의 붉은
빛깔
때문에 서구에서는 고대로마인들이 믿던 전쟁의 신의 이름을 따서 마르즈(Mars)라고 이름 붙여졌다. 바람과 먼지구름만이 휩쓸고 지나가는 화성의 지표부근 기온은 평균 -20℃정도가 된다. 구성성분의 ... ...
저녁 놀
빛깔
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도시의 놀은 시골의 것보다 훨씬 붉다 해질 무렵 하늘을 수놓는 놀은 이 세상의 어떤 화가도 흉내낼 수 없을 만큼 독특한 아름다움을 펼친다. 그러나 이 아름다운 놀의 색깔만으로도 대기가 어느정도 오염됐는지를 알 수 있다는 사실은 그리 알려져 있지 않다.시골 하늘의 놀과 자동차 공장에서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습지의 수질은 pH 4 내외의 약산성으로 특히 타닌산이나 유기산의 농도가 높아 간장
빛깔
(blackwater)을 띠고 있다. 따라서 20~30㎝의 깊이도 볼 수 없다. 습지가 함유하고 있는 물의 총량은 약 1억7천만㎥로 평가되는 데, 유입되는 물은 습지에 평균 1백90일 동안 체류(residence time)한다.한편 이곳에 유입하는 ... ...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떠있는 발광물체를 발견했다. 붉은 오렌지
빛깔
의 커다란 물체 하나와 각각 다른
빛깔
의 보다 작은 네개의 물체가 일렬로 서있는 모습이 뚜렷이 보였다는 것이다. 이들 괴물체는 5분 정도 그대로 떠있다 껌벅거리더니 그자리에서 그대로 사라져 버렸고, 오른쪽 가장자리의 작은 물체 하나만 갑자기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장끼라고도 불리는 수꿩의 전신을 살펴보면 머리와 목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가 붉은
빛깔
을 띠고 있다. 보면 볼수록 털의 깃마다 아름답게 수를 놓은 듯 섬세하고 찬란하기 그지 없다. 검은색의 눈동자와 흰색의 눈썹선, 타는 듯이 빨간 얼굴의 성피(性皮)와 뿔처럼 쫑긋한 암록색의 귀깃 등은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내는 기관이 있어 마치 초롱을 걸어 놓은 것 같아서 초롱아귀라 한다.초롱아귀는 몸의
빛깔
이 거무스름하기 때문에 어둠 속에서는 분간하기 어렵다. 그래서 작은 고기들이 초롱(낚싯대)에만 눈이 쏠려 다가오면 귀는 그 큰 입을 벌려 냉큼 잡아 먹는다. 수컷은 암컷에 비해 아주 작으며 암컷에 기생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