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인
죽은사람
사자
조난자
부상병
d라이브러리
"
사망자
"(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뇌졸중으로 1천억달러 손실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뇌졸중(중풍)과 치매(특히 알츠하이머병)가 화제가 됐다.한국에서 95년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3만6천여명으로 1만7천여명에 이르는 교통사고를 제치고 사망률 1위를 차지했다. “미국에서는 3위쯤 된다. 미국은 매년 뇌졸중으로 1천억달러의 경제적인 손실을 입는다.” 뇌졸중의 심각성을 ... ...
오른손이 하는일 왼손도 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코렌박사는 왼손잡이 단명설을 내놓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캘리포니아 남부지방에서
사망자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오른손잡이들은 평균수명이 75세인데 반해 왼손잡이들은 66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그의 연구가 발표될 무렵 미국 보건국은 왼손잡이가 오른손잡이보다 심장병에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로마군은 무기도 제대로 쓰지 못하고 패했다. 로마군 생존자는 약 1만4천명. 카르타고군
사망자
는 약 6천명.보병에서 기병의 시대로 진법의 암흑기고대 말 유럽 세력을 주도하던 로마가 멸망하면서 고대의 방진 형태는 사라지기 시작했다. 로마의 대규모 군사 조직은 무너졌고, 적은 수로 이루어진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이 사고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모두 1천5백3명이었다(기록에 따라서는 탑승객 2천2백27명,
사망자
1천5백17명으로 보는 데도 있음).원래 타이태닉호의 구명정이 수용할 인원은 1천2백명 정도였다. 그러나 생존자가 이보다 적은 7백명밖에 안되는 이유는 이날 밤의 규칙인 ‘여자와 아기 먼저’ 거부한 채 ... ...
1. 에볼라는 유행성 출혈열의 일종-사망률90%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이어서 1979년 수단에서 또다시 발호한 이 바이러스는 34명을 감염시켜 이중 22명의
사망자
를 냈다. 1989년에는 미국 버지니아주 레스톤이란 마을에서 필리핀으로부터 수입한 원숭이들이 원인 모를 병으로 죽었는데, 그 원인을 조사한 결과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90% 이상의 치사율을 ... ...
아프리카, 살인 바이러스 에볼라 공포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자이르의 한 시내에서 단기간 내에 80여명에 넘는
사망자
를 내고 있는 집단 괴질의 원인균 에볼라 바이러스는 사실 신종 바이러스는 아니다.에볼라 바이러스는 이미 1967년 독일의 미생물학자 마버그 박사가 발견한 바 있다. '에볼라'라는 명칭은 이 질병이 발생한 자이르 에볼라 강의 이름을 딴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한다.우리나라 현행 '시체해부보존법'에 따르면 연구목적 외에 기타 다른 목적으로도
사망자
의 장기나 조직의 일부 혹은 전체를 보호자 동의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서 타환자에 대한 사체 재활용은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뇌사를 심폐사와 같은 ... ...
독가스 '사린'의 정체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마침 일본에는 지난해 6월 유사한 사건이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서 일어나 7명의
사망자
를 낸 바 있다. 마쓰모토의 피해자들은 후유증이 완전히 없어지기 까지 약 4개월이 소요됐으며 피해 직후 구명에 성공한 피해자들은 생명에 지장은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초 발견자는 아직까지 의식불명 ... ...
미의학계, 신종 바이러스 추적 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접하는 부근 의사들은 나바호 인디언들 사이에 극심한 호흡기계 질환이 퍼져 수십 명의
사망자
를 낸 사실을 보고했다. 그러나 현대의학의 힘을 빌려도 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는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근착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따르면 미국립방역센터(CDC) 등에서 파견된 연구자들은 ... ...
고형 암, 항암제 거부현상 밝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약 처방은 성인의 폐 유방 대장 직장 전립선 뇌 등 주요장기에 생긴 고형암에 의한
사망자
를 감소시키는 데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왜 항암제는 고형암에 효과가 없는 것일까. 최근의 연구에서는 약제 도달성의 장벽이라는, 지금까지 가볍게 여겨져온 고형암의 성질이 화학요법 성공여부의 관건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