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d라이브러리
"
선진
"(으)로 총 1,574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다량의 플루토늄이 포함돼 있어 핵무기를 개발할 위험이 있다. 원전 개발 초기 단계에
선진
국이 토륨이 아닌 우라늄을 선택한 배경에는 핵무기 개발 욕심도 자리잡고 있었다.각국의 개발 경쟁 속 한국은루비아 박사 이후, 세계 각국은 토륨 원전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다. 에너지 증폭기 연구도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 치료법을 소개해 뇌 수술에 대한 사람들의 막연한 공포와 부담도 줄였다. 이런 변화는
선진
국에 비해 5년 정도 뒤쳐진 뇌신경계 기초연구와 기반기술, 치료제 개발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선에서 일하는 신경외과 의사의 입장에서는 드라마 한편으로 일어난 변화가 무척이나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최근 인문학이나 예술을 많이 강조해요. 제품 개발이나 기업 경영에도 필요하지만
선진
국 경영인과 이야기할 때도 중요합니다. 그들과 기술 이야기, 경영 이야기만 할 수는 없어요. 예술 작품 이야기도 해야 하고 인문학 토론도 해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제품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없는 경우가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발전하면서 사회를 반영하는 교육도 변해왔다. 우리나라가
선진
국과 경쟁하려면 암기와 대량생산보다 창의성과 지식의 융합이 중요하다. 암기-재생의 시대 → 표현의 시대(90년대 논술) →창의성과 융합의 시대(통합논술) 이제는 새로운 지식을 만들기 위해 서로 다른 영역이 ... ...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극정성으로 식물을 가꾼다.▲품격 있는 역사 도시 | 스위스 베른필자는 세계 300여 개의
선진
도시들을 직접 답사해왔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도시는 스위스의 베른! 도시 전체가 박물관이자 한 폭의 서양화를 연상케 하는 수백 년 이전의 풍광을 고스란히 담고 있기 때문이다.▲녹색으로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때문이야. 탄소배출권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지. 지난 1997년,
선진
국을 비롯한 세계 38개 나라들은 2012년까지 1990년도에 배출했던 이산화탄소의 양보다 평균 5.2%를 줄이겠다고 약속했어. 이게 바로 ‘교토의정서’란다. 만약 이산화탄소 양을 줄이지 못하거나 더 많이 배출할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계를 연구해온 미국 스탠퍼드대 로버트 새폴스키 교수는 “복지 시스템이 갖춰진
선진
국에서도 이런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스트레스가 주요인임을 나타낸다”라며 “사회경제적 세상 속에서 가난하다고 ‘느끼는’ 것(상대적 빈곤감)은 열악한 건강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고 설명했다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참여할 수 있다.]바다 생태계를 보전하는 데 지역 주민의 참여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선진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7월 12일부터 16일, 일본 규슈 지역의 갯벌생태마을을 둘러봤다. 일본 야생동물보호기금(WWF JAPAN)과 한국해양연구원이 주관하고 일본 파나소닉이 후원하는 해양 보전 프로젝트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태평양 전쟁 막바지에 일본의 전략요충지 이오지마에서 일본군과 미군의 전투가 벌어졌어요. 2만 명 이상의 일본군은 배수진을 치고 저 ... 하는 기술입니다. 우리나라가 다른
선진
국에 비해 유리한 대목이지요. 미래의 에너지
선진
국을 꿈꾼다면 지금 스마트 그리드가 절호의 기회입니다 ... ...
중국을 넘어 세계로 가는 홍콩과기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중국 최고의 수재들도 홍콩으로 몰리고 있다.이들이 홍콩을 선호하는 것은 무엇보다
선진
국 수준의 교육 환경을 갖춘데다 영어로 수업해 해외유학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외국 학생에게는 매달 2만 홍콩달러(약 279만 원)와 기숙사도 제공한다. 공부하고 생활하는 데 경제적인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