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d라이브러리
"
셀
"(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1주일 만에 환자맞춤형 신경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성공했다. 강경선 서울대 수의대 교수와 강스템바이오텍 줄기세포·재생의학 연구소는 ‘
셀
리포트(Cell Reports)’ 1월 15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HMGA2와 SOX2 유전자를 환자 체세포에 넣어 1~2주 만에 신경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차세대 줄기세포 제작기술인 ‘직접교차분화’를 ...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위상동형이다.아무리 복잡하게 생긴 도형이라도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만
셀
줄 알면 어떤 위상동형을 갖는지 알 수 있다. 김 교수는 오일러 특성수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즉석에서 청중에게 문제를 내기도 했다. 처음엔 답을 말하는 목소리가 적었지만, 문제가 이어질수록 자신 있게 정답을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봉지 감자칩은 처음 감자칩이 등장하고 수십 년도 더 지난 1910년에야 등장했다. ‘마이크-
셀
감자칩 회사’라는 작은 회사에서 왁스로 코팅한 종이봉투에 감자칩을 담아 판 것이다. 다만 이 봉지 감자칩은 순수하게 감자를 튀겼을 뿐 소금을 치거나 양념을 뿌리지 않았다.1940년대 감자칩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형태를 모두 구하고, 그 위에 색을 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셀
수 없이 많은 경우의 수를
셀
수 있는 형태로 단순화시키는 게 핵심이었다.아펠과 하켄은 컴퓨터의 힘을 빌리기로 한다. 컴퓨터는 무한히 많은 모양을 1936개로 단순화시키고 다시 이것이 정확한지 일일이 검사했다. 무려 50일에 걸친 ... ...
[과학뉴스] 전령RNA 사라지는 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교수가 전령RNA가 분해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효소와 과정을 찾아 학술지 ‘
셀
’ 12월 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서 아데닌 꼬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김 교수팀은 이전 연구에서 분해 과정에 아데닌 꼬리 외에 유리딘 꼬리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 ...
찰흙으로 전기를 저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더 얇고 변형이 쉬우면서도 용량이 더 큰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드렉
셀
공과대학교 유리 고고씨 박사 연구팀이 전기 전도성이 높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바꿀 수 있는 ‘찰흙 전지’를 개발했어요.이 찰흙 전지는 ‘엠진’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졌어요. 엠진은 금속처럼 전기가 잘 ... ...
돌아온 배달의 달인 ‘산타다 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선물 개수랑 받은 아이들의 수가 딱~ 맞아야 한다는 거. 그럼 선물 개수 정도는 아주 쉽게
셀
수 있겠지?”가장 먼저 선물의 개수를 세야 한다고? 너무 쉬운 문제였다.“하하, 그 정도는 누워서 떡 먹기죠~!”썰렁홈즈가 자신만만하게 말했다. 과연 그럴까?미션2 썰매 끌 사슴은 누구?“선물을 모두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때까지도 무한이라는 개념은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상태였다. 무한은 그저 인간이
셀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매우 큰 수 정도로 여겨질 뿐이었다. 예를 들어 18세기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무한이 수의 하나라고 했지만, 무한의 개념이 무엇인지, 어떤 성질을 갖고 있는지 확실히 ... ...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절반이 시력이 좋아졌다. 미국의 생명공학 벤처회사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사의 로버트 란자 박사와 미국 UCLA 스티븐 슈바르츠 교수는 영국 의학전문지 ‘란셋’ 10월 14일자에 이번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연구진은 스타가르트 황반이영양증 또는 노인성 황반변성을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1969년 인간은 달에 발을 디딘다. 박테리아는 그로부터 8년이 지나서야 개수를
셀
수 있게 됐다. 밤하늘 은하수의 별들에는 하나하나 이름이 붙어있지만, 박테리아는 아직도 태반이 이름이 없다. 우주보다도 미지의 세계다. "왜 미생물 신종을 찾아야하냐"는 질문에 조 교수는 "호기심 때문"이라고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