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지난 5월 18일 과학동아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최심부 내핵’이라는 생소한 용어를 소개했다. 팜 연구원은 같은 대학의 흐르보예 트칼치치 교수와 함께 지진파로 지구 내핵을 꾸준히 연구한 내핵 전문가다. 두 연구자는 2018년 11월 30일 미국 알래스카 주에서 일어난 규모 7.1의 지진을 포함해, 지난 1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허위 조작 정보를 퇴치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갖춰서 허위조작 정보에 속지 않는 것이랍니다. ❋필자 소개 김지훈(부산 신금초 교사). 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 ...
- [수학체험 유랑단] 어디에도 없는 정다면체 향초를 찾아서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수학 체험 수업으로 소문난 선생님을 찾아가 소개하는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이번엔 경북 영주로 달려가서 장영희 동산여자중학교 선생님의 정다면체 모양 향초 만들기 수업에 참여했는데요.정다면체의 종류, 특징에 이어 오일러 다면체 정리까지 알아봤습니다. 세상에 5개밖에 없는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제한했고, 미국의 경우 2022년 로드아일랜드주와 뉴저지주가 관련 규제를 발표했다. 앞서 소개한 불임 모기도 아직 완벽한 무기는 아니다. 바이러스 감염 모기나 유전자 조작 모기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아직 모른다. 기후변화를 일으키고 곤충의 영역을 침범해 대발생을 야기한 것도 인간, ... ...
- [가상 인터뷰]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 변온동물에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초파리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어. 무슨 일인지 일리가 물어보고 올게! Q.자기소개 부탁해.나는 초파리야. 인간처럼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온동물과 달리, 우리는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변온동물이지. 체온이 올라가면 변온동물은 에너지를 더 빨리 소모해 금방 ... ...
- OUTRO. 위험 인식의 정치성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논란이 광우병 사태와 같은 사회적 위기로 이어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필자소개. 홍성욱. 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과 생명과학부 교수로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중점학교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봅니다. Q. 선생님께선 20년 정도의 경력을 갖고 계신데, 그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을 소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2023년 새로 부임하는 초임 교사가 되신다면 어떤 수업을 하고 싶으신지도 궁금해요. 학생들이 ‘메이키 메이키’라는 기구로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직접 만든 수업에서 깊은 인상을 ... ...
- [연구실은 미니멀리즘 그 자체] 공책, 다면체 모형, 그리고 모래시계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학교 반 친구 7명 앞에서 수학자가 하는 일을 설명하는 짧은 강연을 했을 때도 다면체를 소개했지요. 초등학교 저학년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다면체 모형을 가지고 다면체의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를 설명했답니다. 연구실 한쪽 구석에는 요가 ... ...
- 증명에 도전하는 이유는?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 때문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새로운 증명법을 찾아냈어요. 이 증명법은 미국 수학교육학회 잡지 에 소개되고, 잡지 표지(아래)도 장식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법을 낸 허남구 순천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2015년 고등학교 수학 교사로 일할 때 ‘나도 한번 해볼까?’하는 마음으로 첫 ... ...
-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회고하지요. ◆ 아직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 ◆ 혹시 인터넷에서 1 + 1 = 2의 증명으로 소개되는 아래 ‘짤’을 본 적이 있나요? 저는 초등학생이었을 때 이 짤을 봤는데요, 아주 인상깊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물론 증명은 하나도 이해가 안 돼 증명 자체에 감탄한 것은 아니었지요. 대신 1 + 1 =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