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통"(으)로 총 1,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선발대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C, 자바(JAVA), 파이썬(Python) 같은 컴퓨터 언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AI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컴퓨터 언어를 공부할 수 없는 노릇이다. 이 때문에 자연어처리 AI가 등장했다. 원래 AI는 사람 수준으로 자연어를 이해하고 구사하기는 어렵다. 자연어와 컴퓨터 언어에는 큰 차이가 있기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만드는 SW의 모든 알고리듬은 수학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업무와 관련해 소통할 때 대부분 코드와 수식을 이용합니다. 그리고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만큼 기하학적인 직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계학습과 딥러닝 알고리듬을 이해하고 코드를 짜야 해서 그 토대를 이루는 선형대수학이나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외국인인 경우가 많죠. 다양한 사람과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영어가 중요해요. 외국인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고,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
- [이공계 잡터뷰] 약국 근무 약사의 하루, 상담부터 공부까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있다면?끊임없이 새로운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 끈기와 많은 환자를 대하는 만큼 의사소통 능력이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Q4 약사는 어떤 직장에서 일하게 되나?약국에서 일하거나 대형병원, 제약회사, 국가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제약회사 등 기업체에서 근무하려면 석사학위를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분석해 봤습니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으로 만나지 못했던 대원들, 온라인으로 대신 소통했는데요. 올 한 해 대원들의 탐사 활동은 어땠을까요? 또 지사탐 대원들이 사랑한 생물은 무엇일까요? 온라인 현장교육으로 더 많은 대원들과 함께!지구사랑탐사대는 올 한해 큰 변화가 있었어요. 코로나19로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쓰이는 것으로 확인됐어요. 예를 들어, 깊은 바다에 사는 훔볼트오징어는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생체 발광을 이용해요. 몸 여러 곳에서 불빛을 뿜어 다른 개체와 대화를 하는 데 쓰는 것이죠. # 통합과학 넓히기오리너구리, 형광으로 빛난다? 세상에서 가장 특이한 동물엔 뭐가 있을까요?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뇌와 관련된 질병을 기술로 극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각을 읽어내 뇌파로 소통하고, 더 나중엔 컴퓨터에 기억을 저장하는 것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는 포부를 밝혔답니다. ●인터뷰“생각을 컴퓨터에 업로드 하는 그날까지!”임창환(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Q지난 ... ...
- [가상인터뷰]오가노이드 성장 비결은 쥐어짜내며 ‘압축’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면역 세포 등과 소통하며 성장하는데, 미니장기는 몸 밖에 분리되어 있어 이런 소통을 하지 못하거든. 오가노이드를 연구하는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인간의 장기와 더 비슷한 상태로 만드는 방법을 찾는 건 중요한 연구 주제야. 최근에는 새로운 방법이 나왔지.Q.그 방법이 뭐야?A. 미국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진짜 같은 다리 모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했다는 사실, 알고 있소? 여러분에게 일방적으로 과학 영상을 소개만 하다가,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방송을 했더니 무척이나 재미있었소! 다음엔 꼭 오프라인에서 만나길 바라겠소~! 버스를 타고 출근을 할 때마다 한강 다리를 건너요. 한강에 놓인 다리들을 보면 ‘저렇게 큰 다리는 어떤 순서로 ... ...
- [보존과학] 과학 기술로 문화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담겨 있던 거죠. 전쟁 중 장군이 직접 기록한 유물을 보고 있으면 과거의 이순신 장군과 소통하는 느낌이 들었답니다. 조상과 현대의 우리, 그리고 미래의 후손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는 소중한 우리 문화재, 꼭 지켜야 하지 않을까요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