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업적"(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제가 두 살이던 1964년, 당시 수학계 난제였던 ‘특이점 해소 정리★’를 증명했고 이 업적으로 1970년 필즈상을 받았습니다. 특이점 해소 정리★3차원에 있는 롤러코스터의 궤도는 서로 만나는 지점이 없지만, 2차원 평면에 있는 그림자를 보면만나는 지점이 생긴다. 이런 점을 ‘특이점’이라고 ... ...
- Part 4. 프랑스, 수학의 성지가 된 비결?수학동아 l2018년 08호
- 20세기 초반에는 앙리 푸앵카레와 같은 거물급 수학자가 나타납니다. 이들은 학문적 업적을 세우는 데 그치지 않고 학교를 설립하면서 인재양성에 힘씁니다. 그들이 세운 학교를 다녔던 학생들이 필즈상과 같은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게 된 것이지요. 프랑스는 미국과 한 명 차이로 필즈상 수상자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자는 많다. 프랑스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는 젊었을 때부터 위상수학 분야에 많은 업적을 냈지만, 나이가 들어서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91세임에도 논문을 내고 있는데, 2018년 5월에는 ‘코호몰로지’라는 대수적 구조와 관련된 논문을 아카이브에 올렸다. 응용수학의 스타 스탠리 오셔도 ...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성장 이익을 다른 지역으로 파급해 효과를 확산하는 개발. 불평등 완화 노력능력이나 업적에 따른 어느 정도의 불평등은 개인의 성취 동기를 자극해 사회를 발전시키는 긍정적인 기능도 있다. 하지만 환경적·구조적 불평등이 발생하거나 불평등이 심화하면, 개인이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빼앗고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브렌들 교수가 증명했습니다. 페렐만의 연구에서 아이디어 얻어브렌들 교수의 또 다른 업적인 평균 곡률 흐름은 푸앵카레 추측(3차원 공간의 모든 폐곡선이 한 점으로 모일 수 있다면 그 공간은 구로 바꿀 수 있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두 점의 거리 변화가 리치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못해서 발표하지 못한 것이라 의심하기도 한다. 진실은 알 수 없지만 페르마가 남긴 업적이 상당해 그의 수학적 능력을 부정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페르마 수는 모두 소수라는 이 간단한 추측은 페르마가 죽을 때까지 해결되지 않는다. 그렇게 아마추어 수학자의 추측은 영원히 미궁으로 ...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쉽지 않은 문제가 많다”며, “아마 세계 어느 과학영재교육원에서도 이루기 힘든 업적을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모든 연구에는 문제해결력이 중요한데, 학생들이 열린문제를 풀며 연구자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교육 덕분일까. 연세대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는지 계산했다.페랭이 추산한 1 몰의 입자 개수는 7.05×1023개였다. 페랭은 아보가드로의 업적을 기려 이 숫자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 페랭은 물질의 불연속적인 구조에 관한 연구로 192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순도 100% 실리콘 구를 만들다몰은 1971년 국제단위계 기본단위로 지정됐다. 미터(m),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제대로 알려주고 싶다고 언론 인터뷰를 통해 밝히기도 했습니다. 마르케스 교수의 대표 업적은 앞서 이야기한 윌모어의 추측입니다. 1965년 영국 수학자 톰 윌모어는 유클리드 공간이 어떤 모습일 때 가장 효율적으로 휘어있는지, 즉 다양체가 어떤 모양일 때 곡률(휘어 있는 정도)이 가장 작은지에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적신 판지와 겹겹이 쌓은 이 전지를 ‘볼타 전지’라고 했으며, 후대 과학자들은 볼타의 업적을 기려 전압을 측정하는 단위를 ‘볼트(V)’라고 이름 지었다. 한편 프랑스의 전기학자인 샤를 오귀스탱 드 쿨롱은 1785년 전하와 전하 사이의 힘을 최초로 실험을 통해 측정해냈다. 쿨롱은 대전된 두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