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부"(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하와이가 ‘무지개 맛집’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바람을 높은 산들이 둘러싸 막아주는 것도 원인으로 꼽았어. 산골짜기 안쪽의 공기가 외부 공기와 섞이지 않고 낮 동안 햇빛에 충분히 가열되어 상승하면 구름이 발달해서 소나기를 내리게 하거든. 그러면 곧 해가 지는 시간에 무지개를 볼 수 있지. 마지막으로 하와이는 대륙에서 멀기 때문에 ... ...
- [매스미디어] 베이비에게서 벽이 느껴져! 바로 '완벽!' 보스베이비2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돔은 모든 면이 삼각형으로 이뤄져 있어서 헬리콥터가 눌러도 문제없을 만큼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 게다가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한다음, 뼈대를 계속 이어나가 조립식으로 건물을 지을 수있다는 장점이 있다. 애니메이션에 스치듯 등장하는 닥터암스트롱의 돔은 완벽한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만한 퍼즐을 찾기 시작했다. 보통 실험 연구자들은 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실험 데이터를 외부인에게 공개하는 것을 꺼리는 편인데 내가 수학자라서인지 크게 의식하지 않았던 것 같다. 어쩌면 핀키엘스테인 교수님이 계셨으면 불가능했을 수도 있는 일이었다. 그렇게 모든 데이터를 쭉 같이 ... ...
- [한페이지 뉴스] 이론이 틀렸다, 그래핀보다 인성 10배 높은 2차원 소재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질소 3개와 붕소 3개가 이룬 육각 질화붕소의 육각형은 비대칭이었다. 이 때문에 외부 힘을 가했을 때 그래핀은 균열이 있는 곳에서부터 한 방향으로 갈라져 파괴에 이르렀지만, 육각 질화붕소는 비대칭 구조 때문에 균열이 지그재그 형태로 나눠지며 빠르게 전파되지 않았고, 그 결과 추가적인 힘을 ... ...
- 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갔다가 방전시 전해질을 타고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자를 분리시킨다. 동시에 전자는 외부 도선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킨다. 리튬이온은 이온 1개가 전자 1개를 이동시킬 수 있는 1가 이온이다. 만약 전자 2~3개를 이동시키는 다가 이온 소재를 사용한다면 이론상 에너지 밀도를 2~3배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결과를 냅니다. 그런데 AI가 학습 과정에서 잘못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해킹 등 외부에서 방해를 받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결과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최근에는 전체 과정을 설계한 개발자도 오류의 원인을 즉각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결과가 어떻게 도출됐는지를 명확하게 ... ...
- [DGIST@융복합 파트너]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갔다가 방전시 전해질을 타고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자를 분리시킨다. 동시에 전자는 외부 도선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킨다. 리튬이온은 이온 1개가 전자 1개를 이동시킬 수 있는 1가 이온이다. 만약 전자 2~3개를 이동시키는 다가 이온 소재를 사용한다면 이론상 에너지 밀도를 2~3배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입었지만 위성 영상에는 피해가 없는 것처럼 측정된 큰 숲이 많다고 지적했다. 사냥이나 외부 생물종의 침입, 질병 확산으로 대형 포유류와 조류가 멸종하고 있지만 위성 영상에는 이런 사실이 간과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지구상 20~40%의 지역이 온전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실제로는 ... ...
- [기획] 폐기물의 마지막 종착지, 매립지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보면 일반적인 산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다.복토층을 세 겹 덮으면 매립지 속 폐기물이 외부 환경과 분리된다. 다음으로 매립지 속에서 벌어지는 일을 살핀다. 폐기물에 들어있는 유기물질이 분해되면 매립가스가 발생한다. 매립가스의 약 50%를 차지하는 메탄은 주요 온실가스인데다 쉽게 타는 ... ...
-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조각을 마이크로파로 진동시키자, 다른 알루미늄 조각이 그와 연관된 움직임을 보였다.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알루미늄 조각을 극저온에서 냉각한 뒤 발생한 결과로, 오롯이 양자얽힘에 의한 것이라 주장했다. doi: 10.1126/science.abf2998핀란드 알토대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공동연구팀은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