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먹어서 붉은빛을 띠지 않아요. 그래서 양식장의 연어에게는 따로 아스타잔틴을 먹게 해 우리에게 익숙한 붉은빛을 띠도록 만든답니다. 1918년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스 자크 테나르는 과산화바륨과 묽은 황산을 반응시켜 처음으로 과산화수소를 발견했습니다. 과산화수소는 수소 원자 두 개와 ... ...
- 악땅, 어디 숨었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악땅과 약속한 시각까지 얼마나 남았어?” “악땅과 약속한 시각은 8시 7분 30초야! 우리에겐 1시간 13분 10초가 남았으니 서두르자!”“저기 악땅의 발자국을 따라가 보자!”클락과 티키는 악땅의 발자국을 따라가다가 나무에 걸린 악땅의 일기 한 장을 발견했어요.“악땅이 9월 13일에 쓴 일기인가 ... ...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줄여 기후 위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2019년 우리나라 한국전력은 경기도 흥덕 변전소와 신갈 변전소 사이 1km 구간에 초전도 케이블을 설치했어요. 하지만 현재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초전도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보내려면 냉각 장치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명과학자에 도전! 디스커버리 현미경 세트와 3D 야광 인체 모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필수 구성 요소들이 모두 들어 있어요. 인체 모형을 조립하면서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우리 몸속을 살펴볼 수 있지요. 근육과 뼈, 뇌, 장기들을 순서대로 조합해 보며 인체의 각 부분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공부해 봐요. 인체 모형의 뼈에는 야광 페인트가 발려 있어 어둠 속에서도 빛을 낸답니다 ... ...
- 1초 보다 더 짧은 시간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단위로 헤아리곤 해요. 1나노초(ns) 1나노초는 1초를 10억으로 나눈 시간이에요. 우리가 컴퓨터나 휴대폰 등 전자기기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이 정보가 오가는 시간은 초 단위로 셀 수 없을 만큼 무척 빨라요. 따라서 나노초를 단위로 써서 1/1000000000초까지 나타내지요. 1피코초(ps) 1피코초는 1초를 ... ...
- 상온, 상압에서 된다고? LK-99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초전도 현상의 정확한 원리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지요. 초전도체를 일상에서 활용하려면 우리가 생활하는 온도(상온)와 압력(상온)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보여야 하는데, 과학자들은 아직 이 숙제를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퀀텀에너지연구소 이석배 박사팀 역시 지난 20년간 상온 초전도체를 찾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운전의 주인은 누구일까? 인공지능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내는 문제 운전에 필요한 모든 것을 인공지능 자동차가 인간보다 더 잘 알고 있다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인공지능 자동차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몇 가지 있어요. 첫 번째는 책임의 문제예요. 만약 인간 대신 운전하고 있던 인공지능 자동차가 ... ...
- 어서 악땅 섬으로 가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어디 보자, 4시 40분으로부터 3시간 27분 뒤라면”티키가 시계를 보며 고민하는 사이 시간이 흘렀어요. 그런데, 갑자기 악땅이 보낸 앵무새 ‘타 ... 데는 15분 20초가 걸리고, 거기서부터 악땅 섬까지 가는 데는 48분 30초가 걸려. 그럼 우리는 악땅 섬에 몇 시 몇 분 몇 초에 도착할 수 있지 ... ...
- 별과 별 사이 거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속도로 280억 년을 달려가야만 어렌델에 닿을 수 있는 거예요. 어렌델이 오늘 뿜어낸 빛을 우리 눈으로 보려면, 앞으로 280억 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지요. 용어 설명천체★ 행성, 항성, 혜성 등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를 통틀어 말해요.진공★ 공기를 비롯한 어떤 물질도 존재하지 ... ...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내려오는 북한한류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대마난류가 있습니다. 대마난류 중에서도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갈라지며 북상하는 해류를 동한난류라고 해요. 그런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동한난류의 흐름이 더 강해졌습니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는 “기후변화로 바람과 기압이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