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으)로 총 1,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한반도 바다에서 고향 친구들을 만나니까 더 반가운걸! 육지 친구들도 한반도에 온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누굴까? 아, 마침 저기 보인다! ... . 한반도 바다에 나타난 낯선 녀석들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Part 4. 한반도 산은 지금 탈모 진행 중?Part 5. 2017년 한반도 열대과일 재배 ...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관람객이 공간 안으로 걸어 들어가면 빛은 사방으로 무한히 뻗어나간다. 관람객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무한 크리스탈 우주’에 맵핑되는 별 또는 별자리를 선택할 수 있다. 화면에서 마음에 드는 별이나 별자리를 고르면, 그 모양으로 ‘무한 크리스탈 우주’가 구성된다. 심도 감지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그 수명 주기는 30~60년으로 알려져 있어요. 일본 교토 신사 | 에도 시대에 일본인들은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고 나서 나무판에 그 내용을 적어서 절이나 신사에 공물로 바쳤습니다. 이것을 ‘산가쿠’라고 하는데 아직도 일본 곳곳에 있는 신사에 가면 수학 문제가 새겨진 산가쿠를 볼 수 있어요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감각을 인식하게 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2016년 미국 피츠버그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온 몸이 마비된 남성 환자의 뇌 감각 피질에 마이크로전극을 이식한 뒤, 이를 로봇 팔과 연결해 로봇 팔의 손가락을 만졌을 때 그 감각을 느끼게 하는 데 성공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f8083 황 교수는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마지막 전임상시험을 통해 임상시험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현재 닥터 허준은 상용화를 위한 전기전자 안정성 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인허가가 끝나면 로봇과 함께 상용화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직 기술적·기계적 완성도를 높여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하지만 닥터 허준을 잘 ...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경연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등 다양한 대회에서 수상자를 배출했다. 서 부장은 “입학을 위한 공부보다는 자신의 역량 향상과 자아실현을 위해 공부하고 탐구하기를 추천한다”며 “그런 노력이 쌓이다 보면 대구과학고에 들어올 만큼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 [과학뉴스]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유리창 등 모든 표면에 뿌릴 수 있으며, 잉크로 만들어 종이에 인쇄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두께가 8μm(마이크로미터·μm는 100만분의 1m)인 안테나를 만들었고, 이 안테나는 기존의 나노물질로 만든 안테나와 비교해 98%의 성능을 보였다. 또한 두께가 종이의 10만분의 1밖에 되지 않는 62nm ... ...
- 단 한 편의 논문, 생물학에 한 획을 긋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튜링은 생물학에서도 중요한 수학자입니다. 뛰어난 재능을 모두 발휘하지 못하고 짧은 생을 살았던 튜링은 죽기 2년 전인 1952년 패턴 형성이라는 생물학적 현상을 ‘반응-확산 ... 튜링이 남긴 생물학 연구는 단 하나 뿐이지만, 생물학에 관심을 가진 건 갑작스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 ...
- 자연을 아우르는 절대 수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반응 속도가 빠르면 넓은 점박이 무늬나 굵은 줄무늬를 만들 겁니다. 이처럼 튜링은 두 가지 물질이 작용하는 매우 간단한 방정식 하나로 다양한 동물 털 무늬의 생성 원리를 밝히려고 했습니다. 약 40년 뒤인 1988년, 제임스 머레이 영국 옥스퍼드대 수리생물학과 교수가 튜링의 아이디어를 좀 더 ...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그래서 저는 과학이라는 현실을 배웁니다. 그리고 이 현실을 진정으로 배운다면, 사람들은 세상을 다르게 볼 것이라고 믿습니다. 지구의 모든 사람들이 하늘을 바라보며 황홀경에 빠지는 모습을 고대합니다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