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본인만 갈 수 있는 ‘내면의 세계’로 가는 문을 열었다. 여러 철학자와 과학자들의 이론 중 핵심적인 몇 가지를 꼽아 이 책에 담았다. 2019년 한국에서 출간된 스턴버그의 ‘뇌가 지어낸 모든 세계’를 재밌게 읽었던 독자라면 더욱 기대해도 좋다. 에디슨이 없었다면 맥스웰의 로맨스도 쉬웠을 ... ...
- [필즈상 수상 소감] “낯설고 무게감 느껴져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과거 인터뷰마다 필즈상을 ‘아주 높은 확률’로 받지 못할 거라고 이야기하셨는데요. 그 필즈상을 받으셨어요. 소감이 어떠신가요? A. 수상 소식을 듣자마자 가장 먼저 ‘잘 됐다! 부모님이 좋아하시겠다’고 생각했어요. 좋아하는 일을 하며 의미 있는 상을 받아 기쁘고, 분수에 넘치는 일이 ...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2018년엔 2명의 수학자와 함께 리드의 추측의 확장판인 ‘로타의 추측’까지 해결하셨어요. A.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제 논문을 보고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가 먼저 이메일을 보내왔어요. 제가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방법을 이용하면 다른 추측도 해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충격적인데, ‘사영다양체’를 거치지 않고 매트로이드에서 바로 사영다양체의 교차이론에서 나오는 고유의 성질들을 확립한 것은 현재의 대수기하학의 토대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비유하자면 화성(조합론, 매트로이드)에서 얼음(호지-리만 관계)을 발견한 것인데, 이는 화성에도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최근 눈에 띄는 연구로 주목받고 있는, 앞으로 한국 수학계를 이끌 젊은 수학자를 소개했습니다. 이분들처럼 우리나라 수학자들이 지속 ... 곡면을 연구했고, 최근에는 이를 발전시켜 3차원 공간을 연구합니다. 이 연구는 거울대칭이론, 물리학 등 다른 분야 연구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답니다 ... ...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성질을 가진 곡선인 ‘슈람-뢰브너 전개’로 수렴한다고 밝혔습니다. 슈람-뢰브너 전개 이론이 거둔 쾌거는 격자 모형 연구에 대한 기대를 더욱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됩니다. 여기서 프랙털이란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와 닮은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되는 구조를 말합니다. 박사 학위 논문부터 드러난 ...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남겼는데,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 400편이 넘고, 그의 이름을 딴 방정식과 부등식, 이론이 수십 개나 됩니다. 그만큼 상도 많이 받았습니다. 막스 플랑크 메달(1992), 볼츠만 메달(1998), 앙리 푸앵카레상(1998) 등 물리학과 수학에서 받을 수 있는 권위 있는 상들을 휩쓸었습니다. 리브 교수의 대표 ... ...
- [킹앤유] 확률로 물리 현상을 밝히다! 벤델린 베르너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서로 다른 기하학적 성질을 갖게 돼요. 베르너 교수는 복소해석학의 등각 변환과 확률 이론을 결합해 규칙별 무작위 행보마다 가질 기하학적 특성과 2차원 브라운 운동의 기하학적 특성을 연구했어요. 베르너 교수의 이러한 연구는 물리학에서 관심있는 주제인 ‘두 개의 상이 맞닿아 있는 물질의 ... ...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제작하거나 아바타가 입는 아이템을 스스로 제작해서 암호화폐를 받고 판다.기술비판이론의 선구자인 앤드류 핀버그는 말했다. 모든 기술에는 당대 사회문화의 지배적 논리, 즉 기술의 사회적 코드가 새겨진다고. 기술의 설계와 디자인, 사회적 이용에 이르기까지 동시대의 ‘주류’ 또는 ...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그다지 특별하지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실험을 하고 이를 통해 이론을 검증하고 발전시켰지만, 이것만 봐서는 다른 지식에 비해 특별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세계 각국의 정부는 과학 지식을 생산하고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자원을 계속 투자하고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