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적
자국
유풍
자욱
발자취
상처
얼룩
d라이브러리
"
자취
"(으)로 총 3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보급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했으나 80년대 들어 기본 취지와는 달리 시대의 변화에
자취
를 감추고 말았다. 별자리 10개정도 알아볼 수 있는 사람KAAA는 여러가지 구조적 취약점을 지니고 있었다. 신입회원이 쏟아져 들어와도 조직적으로 관리할 수 없었고 그 결과 많은 신입회원이 들어오자 마자 KAAA를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기름칠을 해야겠다"는 새삼스러운 각오로 수백킬로 떨어진 먼 곳까지 찾아와서 구차한
자취
방 생활을 하면서 열심히 강의를 듣는 모습이었다.6공이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부담도 크게 덜어진 것이 사실이다. 잘 모르긴 하지만 교사들의 주당 평균 수업시간수가 18시간이라는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최대의 소프트웨어업체로 성장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맞춤옷이 기성복에 밀려
자취
를 감추어가고 있듯이 소프트웨어의 제작비용을 특정한 사용자에게 부담시키는 것이 아니라 많은 수의 사용자들에게 고르게 부담시킴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강력한 기능을 갖춘 패키지 소프트웨어가 이제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느낄 때 맹수의 소리를 흉내내어 적을 잠시 주춤거리게 한다. 그 사이에 소리없이 날아
자취
를 감추는 총명한 새다.구관조의 몸통 길이는 24~37㎝인데 금속 특유의 광택이 나는 흑자색의 털이 온 몸을 뒤덮고 있다. 눈 귀와 볼 양쪽에는 황색의 육수(葉)가 붙어 있고 부리와 다리는 오렌지색으로 금방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셈이다.이처럼 묘한 메커니즘을 지닌 이끼는 대기의 오염이 심해지면 고등식물보다 먼저
자취
를 감춘다. 이 사실에 의문을 품고 연구를 시작한 사람은 핀란드의 이끼전문식물학자 니런더박사였다. 그는 유럽각지의 공원에 서 있는 큰 나무, 정원에 놓인 돌 등을 조사했는데 대도시에서는 예외 없이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2천만~3천만원씩 그저 보태주기도 했지만 요즘 연구단지로 이주하는 연구원들은 하숙과
자취
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급인력 대거 빠져나가기도그러나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한꺼번에 몰려있는 탓에 연구의 자율성이 떨어지고 연구원들의 처우가 상대적으로 나빠졌으며 연구소 ... ...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조그만 자국만 남아 있을 것이라는 짐작뿐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열심히 그 어떤
자취
라도 찾으려 하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 충돌의 최초의 표시는 전세계에서 발견된 6천5백만년 된 암석의 얇은 층이며 여기엔 희귀한 금속인 이리듐이 비교적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유성에는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20개체 미만이 생존하고 있는 절종위기에 처한 조류.우리나라에서는 1980년을 전후하여
자취
를 감추었다. 따오기는 긴 부리와 머리의 붉은 부분, 붉은 다리색으로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다.1968년 5월 30일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됐으며 국제자연보존연맹의 적색자료목록 부호 27호의 국제보호조. 2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빼면 연구다운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양자론은 물리학 가운데 확고부동한
자취
를 남기고 있다. 양자론의 영향을 받지 않은 현대물리학의 분야는 없는 것이다.양자론이 어떤 이론이며 우리의 생활과 사고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이해하려면 우선 양자론을 공부하고 그 ... ...
유기농법, 이땅에서도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농약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우리 농촌에서는 잠자리나 반딧불이
자취
를 감추고 누에 벼메뚜기 물고기 등이 한꺼번에 죽거나 기형이 생기고 있다.환경과 인간에게 주는 영향도 엄청나다. 이미 농민들중 일부가 농약에 중독돼 현기증 구토 시각장애 등의 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