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절함"(으)로 총 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포도 한 알을 반으로 자른다. 아, 그런데 완전히 두 동강 내면 안 된다. 천천히 반으로 자르다가 마지막 부분은 아주 살짝 붙어 있게 해야 한다. 그러면 포도 두 알이 붙어 있는 모양이 된다. 이제 이 포도알을 전자레인지에 넣는다. 그리고 동작 버튼 누르기. 1초, 2초, 3초…. 전자레인지 안에서 갑자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가장 논란의 여지가 없는 학문, 누가 풀어도 바뀌지 않는 절대 진리. 아마 수학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가진 인식일 겁니다. 실제로 수학은 그 논리성과 이성에 충실하며 우리 삶에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수학이 거짓말을 하다니요? 심지어 학생들이 믿어 의심치 않는 수학 교과서가? ...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오늘은 봄 소풍에 가져갈 디저트를 만들어 보려고 해요. 수 셰프답게 제가 고른 디저트는 함수를 품은 ‘블랑망제 푸딩’이죠. 처음 들어본다고요? 블랑망제는 우유를 굳혀 만든 희고 부드러운 푸딩의 종류예요. 생소하다면 이번 기회에 따라 만들어 보고 블랑망제 함수도 공부해봅시다. 우아~하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 기사에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사고나 질병으로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내야 할 상황에서 냉정함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떠난 이를 되살리는 마법을 쓰거나 그를 복제해서라도 다시 곁에 머물게 만드는 상상이 한동안 머릿속을 맴돌 것이다. 영화 ‘레플리카’는 남겨진 이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진짜 과학은 과학 소설보다 훨씬 더 이상하고 훨씬 더 만족스럽다.”- ‘호킹의 빅 퀘스천에 대한 간결한 대답’ 中 2018년 3월 14일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타계하고, 그로부터 1년이 흘렀다. 살아생전 블랙홀의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 이론 등 과학적인 업적을 남겼던 그는 이 세상에 ... ...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기사에 실린 작품은 서울 성동구 서울숲 갤러리아포레에서 4월 7일 일요일까지 볼 수 있는 ‘슈가플래닛’ 전시입니다)3월 14일은 사랑하는 사람과 맛있는 사탕을 나눠 먹으며 사랑을 나누는 ‘화이트 데이’이기도 한데요, 달달한 사탕만큼이나 달콤한 수학을 소개하기 위해 수학미술관이 특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2017년 4월 12일, 전 세계의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 참여자들은 오랜만에 편안하게 잠자리에 들 수 있었다. 다가올 데이터 처리, 영상화, 그리고 까다로운 검증 작업과 토론에 대한 걱정은 잠시 미루고, 그날은 관측을 무사히 마친 것에 만족하며 편안하게 쉬었을 ...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드디어 이삿날! ‘매스 익스프레스’라는 문구가 쓰여 있는 조끼를 입은 이삿짐센터 아저씨들이 오셨어. 그런데 이 아저씨들은 뭔가 남다른 것 같아. 상자에 짐을 넣고 나르는 게 아니라 옮길 물건들을 기록하면서 컴퓨터에 뭔가를 입력하는 거 있지? 대체 뭘 하는 거지? 상자 채우기 문제란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 09 FRUIT drinks - SNS 스타 아이 노우 ‘IdH’ “두유 노우 IdH?” 얼마 전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갈아만든 IdH’가 숙취 해소에 좋다는 글이 꾸준히 올라오기 시작했다. 특히 해외 애주가들 사이에서 그렇게 인기가 좋다고. ‘갈아만든 IdH’가 대체 무엇인지 폭풍 검색을 했다. 아하, 해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새해 벽두부터 우주 역사에 길이 남을 두 소식이 들려왔다. 하나는 미국발(發), 하나는 중국발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인류 역사상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천체를 근접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중국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 뒷면에 무인 우주선을 착륙시켰다. 미국과 중국은 자신들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