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체"(으)로 총 1,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에 도오전! 키블저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어두컴컴한 이곳 지하에 거대한 육면체 모양의 기계가 숨겨져 있습니다. 그 정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정밀한 ‘키블 저울’! 왜 연구원들은 이렇게 크고 정밀한 저울을 만든 걸까요? 지난 6월 22일,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을 찾으러 이창욱 기자가 대전을 다녀왔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있었어요. 이들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요? 박쥐 탐사, 시작을 알리다! 이들의 정체는 지구사랑탐사대와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함께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시민과학풀씨’ 박쥐 탐사 대원들이었어요. 이날 대원들은 저마다 직접 그린 박쥐 날개 그림을 손에 들고 있었어요. 일주일 전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깊은 숲속으로 들어갔지요. “어? 오빠! 여기야! 냄새의 정체를 찾았어!”달콤한 냄새의 정체는 바로 복숭아였어요. “음~. 달콤한 냄새! 복숭아 정말 맛있겠다!”오빠는 잘 익은 복숭아 두 개를 땄어요. 그리고 껍질을 깐 뒤에 저와 하나씩 나눠 먹었지요.“복숭아 정말 맛있다! 달콤한 과즙이 너무 ... ...
-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강돈혁 연구원은 “생물음향학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미지의 세계였던 바다의 정체가 소리를 통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어요. _ 인터뷰버니 크라우스(생물음향학자) “생명체의 소리에는 중요한 메시지가 가득해요” 버니 크라우스는 지난 40년간 전세계를 누비며 동물 1만 5000종의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만들어지는 거죠.” 끊임없이 진화하는 KSTAR“위-잉, 위-잉”.KSTAR가 위치한 주장치실은 정체 모를 소음으로 가득했다. 1m 옆에서 KSTAR에 대해 설명하는 김 부장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정도였다. 김 부장은 중앙의 거대한 토카막(Tokamak)에 연결된 장치 하나를 가리키며 대답했다. “냉각수를 ... ...
- [수학뉴스] 꿀잠 방해 원인 수학으로 밝히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깨질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그리고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세포질 내 PER 단백질의 정체를 모의 실험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해 생체 리듬을 예측했습니다. 또 비만이나 치매로 세포질 내 방해 물질이 많은 쥐를 사용해 비교했죠. 그 결과 PER 단백질은 세포핵 주변에서 충분히 응축돼야 핵 안으로 ... ...
- [특집] 미션 성공! 에프매스의 영롱한 자태 공개♥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나와 함께 했던 여정을 기억해줘~! Bonus왜 종이접기가 로봇에서 나와? 사실 숨겨진 내 정체는 로봇을 만드는 공학자였어. 언젠가 아이언맨을 능가하는 첨단 로봇을 만들 계획이었지. 그래서 이번에 배운 종이접기를 한번 로봇에 응용해볼까 해. 마지막으로 과학에 종이접기가 더해진 종이접기 ... ...
- 질문으로 보는 2020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PART 2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PART 3 물리학상 │ 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펜로즈의 특이점 정리PART 4 화학상 │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첫 번째 순간이었다. ★준결정의 근거가 된 펜로즈 타일★‘이상한’ 대칭구조의 정체는 결정과 비결정의 사이에 있는 ‘준결정’ 물질이었다. 그러나 기존 정설을 뒤엎는 셰흐트만 교수의 발견은 엉터리 연구로 취급당했다. 연구실의 명예를 실추시킨다며, 소속 연구실에서 쫓겨났을뿐더러 노벨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증식을 직접 억제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로 이어졌다. 바이러스의 정체를 명확하게 밝힌 덕분에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검증하고, 최적화된 치료제를 완성하는 모든 단계에서 항바이러스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수백만 명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