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류"(으)로 총 1,21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철새 연구가 ‘와타가타 버드’야. 얼마 전 서해안에서 수상한 새 한 마리가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고 달려왔지. 며칠간의 잠복 수사 끝에 소문의 새를 보게 됐는데…. 그런데 저 새는 우리나라에서는 못 보던 종류네? 대체 정체가 뭘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붉 ... ...
- Part 1. 깃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노랑, 주황, 분홍색을 내는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들어 있거든요. 갑각류나 남조류에 들어 있는 카로티노이드는 ‘아스타크산틴’과 ‘칸타크산틴’이에요. 보통 산소와 결합해 청록색을 띠다가, 뜨거운 물을 만나거나 몸속에서 분해되면 원래의 붉은색을 낸답니다. 즉, 홍학이 먹이를 먹으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지정한 뒤, 550년 동안이나 자연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어요. 이곳엔 865종의 식물, 175종의 조류, 20종의 포유류, 3925종의 곤충 등 우리나라에서 단위 면적당 가장 다양한 생물종이 살고 있답니다. ●능림 : 왕이 자신의 무덤을 세울 곳으로 지정한 숲. 지난 2010년, 유네스코에서는 광릉숲의 가치를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이곳에서는 최대 시속이 6.3km인 조류를 만들어낼 수 있어요. 실제 바다에서는 조류의 세기가 시속 4km만 돼도 모든 작업을 중단해야 할 만큼 물의 흐름이 공사를 방해한답니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장인성 수중건설로봇사업단장은 “올해 9~10월까지는 포항에 있는 수조에서 시험을 진행하고, 그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참가한 ‘닌자거북’ 팀의 제갈준(대전 샘머리 초 3) 대원은 “버섯 탐사와 조류 탐사가 특히 즐거웠다”며, “생각보다 더 많은 생물들이 가까운 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2018년 바이오블리츠코리아는 대전에서 열릴 예정이에요. 생물의 이름을 찾아 다양성을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 들어간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 물과 관련한 연구에 특화돼 있습니다. 풍력 발전기, 조류 발전기 등 에너지 기술과, 강의 침식, 퇴적, 생태계 복원 등이 주된 연구 분야입니다. 또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후원하는 지표 동역학 연구센터(NCED·National Center for Earth-surface Dynamics)의 본부이고,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능한 새로운 병원체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2년 유전자를 조작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5N1’이 공기를 통해 족제비 간 감염을 일으켰다는 연구결과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각각 게재됐다. 흔히 특정 바이러스가 인간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지를 파악할 때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위석’이라고 부른답니다. 모래알이나 작은 돌로 먹이를 잘게 부수고 소화를 돕는 조류의 모래주머니와 같은 역할이지요.위석을 갖고 있었던 또다른 공룡은?용각류만 위석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에요. 뿔공룡인 ‘프시타코사우루스’와 수각류 ‘카우딥테릭스’의 화석에서도 위석이 ... ...
- [과학뉴스] 초음파로 길 찾는 박쥐, 빌딩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나왔다. 이는 박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다. 스테판 그레이프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학연구소 연구원팀은 박쥐가 건물의 유리창처럼 매끈하고 수직으로 서 있는 물체는 잘 인식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9월 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생쥐귀박쥐 21마리가 어둠 속에서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엠바이오는 이 기술을 이용해서 매달 미세조류 분말 약 20kg을 생산하고 있다. 푸코잔틴은 이 분말에서 추출하는데, 최고 99% 순도 기준 약 200g(1%) 정도를 얻을 수 있다. 순도가 낮을수록 양은 늘어난다. 아우딘퓨쳐스가 여기서 얻은 푸코잔틴을 이용해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