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착각"(으)로 총 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8을 나타낼 때 손가락을 모두 펴고 살랑살랑 흔든다. 이걸 중국인이 보면 자칫 5로 착각할 수도 있다.손가락으로 999,999,999까지 세기!중국인들은 한 손으로는 10만, 두 손으로는 100억 가까이까지 셀 수 있다. 일단, 손가락이 바뀔 때마다 단위가 10배씩 커진다. 오른손 새끼손가락은 한 자릿수, 약지는 1 ...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시간이 내가 다른 차를 추월할 때의 시간보다 오래 걸리기 때문에 내 차선이 더 막힌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고 결론지었다.➋ 실제로 옆 차선의 차가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미국 예일대의 보스트롬 교수는 실제로 일정한 구간의 도로에서 천천히 가는 차선의 차량이 빠른 차선의 차량보다 ... ...
- 최종 병기 애니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이동 경로로 유도한다. 거북이를 오른쪽으로 가게 하려면 왼쪽에 커다란 벽을 보여주는(착각하게 하는) 것이다.‘가상현실을 이용한 생물체 원격유도 기술’로 이름붙인 이번 연구는 동물의 뇌나 신경에 직접적으로 전기 자극을 주는 기존 실험과는 다르다. 또 신경이나 뇌를 자극하기 위한 칩을 ...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전에 한 가지만 짚고 가자. 이름이 비슷해서 암흑광자를 암흑물질(dark matter)의 하나로 착각하기 쉽다. 암흑광자는 ‘암흑영역(dark sector)의 물질’이며 암흑물질과는 다르다. 암흑영역의 물질은 자연계의 4대 힘 중 오직 중력과만 상호작용하는 가상의 물질이다. 반면에 암흑물질은 4대 힘 중 중력과 ...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모양이다. 어느 쪽이 부바고 어느 쪽이 키키일까.정답은 없다. 하지만 ‘명령하는 뇌, 착각하는 뇌’의 저자 라마찬드란 UC 샌디에이고 뇌인지연구소장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을 했을 때, 놀랍게도 결과는 일방적이었다. 98%의 학생들이 “부바는 아메바 모양, 키키는 깨진 유리처럼 삐쭉삐쭉한 ...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장내미생물의 AI-3 수용체에 붙는다. 장내미생물은 이를 AI-3가 붙은 것으로 착각하고 추가로 AI-3 물질을 분비해 장내미생물을 결집시킨다. 모인 장내미생물이 한꺼번에 많은 독소를 내뿜어 배탈을 일으키는 것이다.배탈이 나면 설사를 한다. 이는 독소를 빼내기 위한 우리 몸의 방어기작으로 뇌가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In Black이지. 어둠 속에서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는 특수 조직이야. 우리를 Men In Black이라고 착각하진 말아 줘. 우린 그 친구들처럼 우주를 다 부술 기세로 외계인을 찾거나 하지 않아. 우리는 우아하게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지.영국의 솔즈베리에서 발견된 두 개의 원형무늬나 페루의 나스카 그림 등, ...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크루즈 ‘오아시스 오브 더 시’호의 후미호텔 부분. 거대한 빌딩숲에 둘러싸인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쾌적하고 깨끗한 여행을 꿈꾸다“삐-!”이틀 후인 2월 16일 오후 3시. 레전드 호 1층에 위치한 기관부 종합통제실에 경고음이 울렸다. 이어 모니터에 나온 데크 평면도의 한 지점에 붉은 점이 ...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꿀을 빨아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벌새로 착각하지요. 어떤가요? 자세히 봐도 벌새로 착각할 만큼 비슷하게 생겼죠? 실제 벌새는 알래스카와 열대지방에서 살아요.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지요. 혹시 진짜 벌새를 발견한 친구들은 ‘어린이과학동아’로 연락 주세요~! 이젠 날아야 할 ...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사람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산술평균이 증가했기에 잘 살게 됐다고 착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빈부격차가 심각한 상태에서는 아무리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한다고 해서 대다수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 나는 것은 아니며, 산술평균으론 이런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20:80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