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학자"(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작실]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육면체, 십이면체에만 능했다고 기록돼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 16세기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는 지구 밖 5개의 행성과 플라톤 다면체의 관계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훗날 케플러는 행성의 궤도가 원이 아니라 타원이라는 사실을 밝혀냈고, 케플러의 법칙을 발견해 물리와 천문학의 ...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올해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근지구천체(NEO·Near-Earth Objects)를 본격적으로 탐색하기 시작한 지 20주년이 되는 해다. 1998년 ‘우주방위(Spaceguard) 프로그램’이 시작됐고, 1년 뒤인 1999년에는 지구에 접근하는 천체로부터 지구를 보호할 방법을 논의하는 국제 학술회의가 조직됐다. 그간 과학계는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지원 씨는 “고등학교 2학년 때 미리 써 본 자기소개서가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천문학자를 꿈꾸다가 2학년 때 참여한 서울대 공대 공학프런티어캠프에서 우주항공공학에 매력을 느낀 이 씨는 2학년 겨울에 모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해본 뒤 자신에게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점검했다 ... ...
- [과학뉴스] 멸종위기종 보호 나선 천문학자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천문학자들이 멸종 위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나섰다. 클레어 버크 영국 리버풀 존무어스대 천체물리학과 연구원팀은 천체물리학 연구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아스트로피(Astropy)’를 기반으로 멸종 위기 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내용은 4월 3일 영국 ...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관측되는 블랙홀들의 경우 호킹이 말하는 ‘온도’가 워낙 작은 것이라 관측을 하는 천문학자들 입장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 그보다는 중력이론의 양자적인 구조에 관한 한가지 심오한 문제를 시사하는데, 이는 호킹의 열복사가, 양자역학적인 계산에서 유도됐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양자역학적인 ...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를 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듯 학생들도 동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쓴다. "천문학자가 되는 게 꿈이라 우주에 관심이 많아요. 우주와 무한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잖아요. 자연스럽게 ‘무한’에 관심이 갔어요. 아직 중학생이라 학교에서 무한을 가르쳐주지 않으니 직접 여러 책을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것이다" 1962년 10월 호킹은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는 당대 유명한 천문학자이자 ‘정상 우주론’의 옹호자였던 프레드 호일의 연구실에 들어가길 원했다. 그러나 거절당하고 데니스 시아마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교수의 제자가 됐다. 당시 그가 관심을 갖던 분야는 ‘우주론’과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발견되면서 빅뱅이론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어요. 1940년대 후반 러시아 출신의 미국 천문학자 조지 가모프가 빅뱅이론이 맞다면 대폭발 때 나온 빛의 일부가 우주 어딘가에 남아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바로 우주배경복사였던 거지요. 호킹과 펜로즈는 입자물리학 이론을 이용해 특이점에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 팽창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형을 만든 것이다.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프리드만의 우주론은 힘을 얻었다. 결국 아인슈타인은 우주상수를 일생일대의 실수라고 말하며, 자신의 방정식에서 우주상수를 빼기에 이른다. 훗날 프리드만이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않도록 암흑물질의 중력이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케플러의 법칙★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가 발표한 행성 운동에 대한 3가지 물리 법칙이다. 케플러 제2법칙에 따르면 태양계의 행성은 태양과 가까울수록 빨리 움직이고, 멀수록 느리게 움직인다.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을 찾을 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