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물"(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물고기를 살리려 바다로 뛰어든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지금도 많은 사람이 물고기를 살리기 위해 바닷속에서, 세계 무대에서, 갑판 위에서 활동하고 있어요. 이분들이 바다에 진심인 이유를 들어봤습니다! ●인터뷰바다의 유령, 폐어구를 수거해요! 박현선(해양환경단체 시셰퍼드 코리아 대표) Q직접 바다에서 폐어구를 건지신다고요? 저희는 해양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식물공장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벽면에 공조 시스템을 설치하고, 천장에 배기관을 설치했다. 배양액은 커다란 탱크에 저장해뒀다가 파이프를 통해 선반 각 층으로 전달한다. 공기와 배양액의 흐름 모두 컴퓨터가 자동으로 제어한다. 흙에 심고 햇빛과 바람, 비를 먹이며 키운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8/12-001세 개의 배양통을 우주선에 싣는 데 성공했습니다. 두 개는 배터리가 망가져 전원이 꺼졌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지구의 상태를 보면 세 개가 멀쩡하다는 것만으로도 기적입니다. 보초병은 없었습니다. 보관실을 관리하는 인력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사했던 이유는, 단순히 도시와 떨어져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베이컨이랑 똑같은 맛이에요. 소를 착취할 필요가 없어 윤리적이고, 소가 내뿜는 메탄가스 때문에 환경이 오염될 걱정도 없죠. 지방 함량을 줄여 건강하기까지 합니다.”‘이런 게 왜 이제야 나왔지’ 하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매력적인 배양육 베이컨의 광고 문구다. 고기를 먹으면서 죄책 ... ...
-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공학’과학동아 l2021년 11호
- 2019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과학계가 분주해졌다. 과학자들은 즉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앞장섰고, 직접 접촉 외에 감염자의 물건을 만져 발생하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한 노력도 잇따랐다. 근본적으로 바이러스를 죽이는 생화학적 연구부터 물리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고대부터 날씨와 기후를 조절하는 바람과 물의 움직임은 예측 불가능하고 알 수 없는 것으로 취급됐다. 현대에 들어 기후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지만, 수많은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복잡계(complex system)’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인류가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쓰레기에 낚인 괭이갈매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지난해 여름, 충남 보령의 해수욕장에서 괭이갈매기 두 마리가 낚싯줄에 엉킨 채 발견됐다. 한 낚싯줄에 연결된 두 개의 낚싯바늘을 괭이갈매기가 각각 삼킨 것이다. 낚싯바늘을 삼킨 야생 조류는 신고되는 경우가 드물다. 삼킨 낚싯바늘이 부리나 식도, 위장을 찔러 고통스럽지만 비행과 보행은 ... ...
- [이달의 과학사] 1895년 5월 31일 켈로그 형제의 콘플레이크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아침 식사 대용으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시리얼! 시리얼은 곡류를 가공해서 바로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음식으로, 최초의 모습은 지금과 달랐어요. 1863년 나온 ‘그래뉼라’는 가루로 빻은 곡물 반죽을 구워서 굳힌 형태였는데, 아침으로 먹으려면 전날 밤부터 물에 불려야 했죠.시리얼을 대표하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와 밥상을 오염시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알프스로 정화 처리한 오염수에서 여전히 높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고 있는데, 진짜 일본의 계획대로 2년 뒤부터 바다에 원전 오염수를 내보내도 안전한 걸까? 태평양 돌아 우리나라에 영향 준다? 아직 몰라!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정확한 답을 내놓 ... ...
-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역시~! 수학으로 봐도 독도는 우리땅이군. 자, 이제 독도에 도착했으니 본격적으로 독도의 하늘, 바다, 땅을 구경해보자! 독도의 하늘,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도 함께 말이야. 독도는 동해 해양생태계의 오아시스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 철새의 휴게소로 많은 철새가 지나가는 곳이기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