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제"(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음향물리공학자인 레온 테레민이 ‘라디오에서 들리는 잡음을 통제하면 음악을 연주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 악기를 발명했다. 테레민은 썰렁하면서 오싹하고, 때로는 공포를 느끼게 하는 소리를 낸다. 수직으로 펼쳐진 두 안테나 사이 허공에서 지휘하듯이 손짓하면서 연주한다.비밀은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는 연구 과정에서 가장 힘든 점을 꼽으라는 질문에 “실험 기간 동안 환자들의 식이를 통제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뿐만 아니라 장내미생물 변화를 더 잘 보기 위해 무균 쥐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런 쥐는 일반 쥐와 다른 생리활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장내미생물 연구의 ‘끝판왕’은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시로 연결되는 부위의 작은 뼈가 정상보다 약 1.5~2배 많이 생겼다. 손목뼈 형성이 통제되지 않는다는 뜻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느러미와 손가락은 형태는 다르지만, 관여하는 세포와 제어 과정이 매우 비슷하다”며 “지느러미 가시가 줄어들고 연골이 정교해지는 과정을 통해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예상하지 못한 문제였다. B 교수에 따르면 최근에 우리나라도 생물안전 등급을 깐깐하게 통제하고 있으며, 유전자 조작 실험을 할 경우 반드시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한다. 이런 문제를 잘(?) 해결했다고 하더라도 효모나 박테리아 역시 키우기 어려울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역시 비용이 문제였다. ... ...
-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지만, 범죄 현장은 경찰과 수사관이 통제해야 한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하지만 법의인류학적 훈련을 받지 않은 수사관들은 종종 사건 당시의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단서를 놓치곤 했다. 예컨대 백골화된 시체의 뼈를 빠뜨리고 온다거나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쓴맛이 나는, 즉 독성이 함유된 약초를 평소 어린 침팬지들이 갖고 놀거나 먹지 못하게 통제한다. 대신 성인 침팬지가 아프거나 다쳤을 때 약초 사용법을 볼 수 있게 한다. 즉 자연스럽게 시범을 보인다. 반면 고릴라는 부모 세대가 아닌 또래 집단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는다.이유는 이렇다. 잡식성인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처럼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서는 개체가 자신이 평생 낳는 자식수를 온전히 유전적으로 통제하지 못한다. 그러니 개체가 자신의 적합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선택된다고 결코 말할 수 없다. 이제 해밀턴이 이 문제로 얼마나 속을 썩였을지 짐작이 되는가.사회적 행동을 설명할 수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대신할 수 있다. 지카바이러스의 유전자 서열 분석 결과도 10건 이상 나왔다.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China CDC)는 중국 본토에 올해 2월 처음으로 상륙한 지카바이러스의 서열을 분석했고, 가장 피해가 큰 브라질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서열을 분석한 결과도 서너 건 이상이다. 다행히 아직까지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이보그)라는 자기 변형의 문제와도 연관돼 있다. 사이보그는 생물체의 자기조절이나 통제 기능에 기계적 요소를 결합해 하나의 통합적인 시스템을 이룬 존재를 일컫는다. 스마트폰 같은 장비들은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통해 점점 더 우리 신체 내부로 들어올 것이며, 우리는 인터페이스가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키우거나 직접 크리스마스카드를 만드는 등 스스로 할 수 있는 소일거리를 찾는 것이 통제감 극복에 도움이 된다(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5(12), Dec 1977, 897-902). 작은 일이라도 ‘나는 뭔가 할 수 있는 사람이다’라는 막연한 느낌을 받으면 자신감과 행복감이 높아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