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의"(으)로 총 1,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NASA 에임스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이었던 윌리엄 보루키 박사는 10월 30일 진행된 긴급 전화회의(텔레콘퍼런스)에서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찾는 일은 자동차가 전조등을 켜고 100마일(약 160km) 떨어진 곳에서 기어 다니는 벼룩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잉글리스 국제도량형위원회(CIPM) 의장이 조금은 떨리는 목소리로, 하지만 담담하게 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로써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불변의 단위’가 탄생했다. ‘불변의 단위’로 ‘단위 혁명’ 지난 11월 16일, 프랑스 파리에서 약 15km 떨어진 도시 베르사유는 이른 아침부터 안개가 잔뜩 ...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교수는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해 한국광학회 학술회의에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남창희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프리스턴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2012년까지 KAIST 물리학과 교수로 ... ...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가 갇힐 미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이 미로 속에 흩어져 있는 단서를 찾아 퍼즐도 풀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벨상위원회의 의장직을 맡고 있는 문테코스 교수는 “아벨상은 수학자의 공로를 인정하는 목적 외에도 아이들의 수학적 흥미를 고취시키고 수학의 위상을 높이는 역할도 해야 한다”며, “이곳이 수학과 자연과학 ...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018 서울달리기대회’에 직접 참가해서 뛰어 보고 기사 쓰는 걸로.” 9월 말 과학동아 기획회의. 편집장의 이 말에 기자의 10km 마라톤 도전이 결정됐다. 마라톤 얘기가 나왔을 때 전용 신발이 있다고 덥석 물지 말았어야 했다. 그렇게 김민아 기자와 함께 10km 마라톤 참가는 현실이 됐다. 기본 체력에는 ...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광원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자 1909년 프랑스, 영국, 미국, 독일 등 4개 나라 표준기관은 회의를 열고 탄소필라멘트 전구를 ‘국제촉광(International Candle)’ 표준으로 채용하기로 했다(독일은 헤프네 램프를 표준으로 채용하고 0.9 헤프네 램프를 1 국제촉광으로 고집했다). 그러다 1937년, ... ...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긱블 유튜브로! 긱블에서는 이렇게 괴짜 같은 아이디어가 넘쳐나요. 누구든, 언제든 회의를 소집할 수 있죠.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살아있는 전두엽들이 만나면, 가끔 깜짝 놀랄 만큼 멋진 아이디어가 나오곤 해요. 한번은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로 긱블러와 똑같이 생긴 인조인간을 ...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APMP) 산하 12개의 기술위원회를 대표하는 선임의장으로 선출돼 CIPM-MRA와 관련된 국제회의에 아시아 대표로 참석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측정기술을 산업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전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반도체 웨이퍼의 불량 여부를 파악하거나 대형 ... ...
-
- Part 3. 세계수학자대회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처음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의 리얼한 방문기를 통해생생한 현장과 문화 차이에서 오는 재미까지 동시에 선사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와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는 어떻게 다를까? SCENE #1 삼바의 열기, 그리고 추모식여기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입니다. ... ...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나온 것이다.우리나라 전도에서 산줄기를 표시하는 전통은 조선 초기에 제작된 이회의 ‘팔도도(1402년)’, 정척과 양성지의 ‘동국지도(1463년)’, 그리고 정상기의 ‘동국지도(18세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지도들은 모두 필사본이고, 대동여지도에 비교하면 자세하지 않은 소축척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